조혼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866

STNet ID : 1001983

한자 : 早婚

c03-03 문화/생활

원인_t

가계계승

원인_t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만혼 [ 晩婚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공녀 [ 貢女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성인식 () [ 成人式 ]

인도 힌두 여성의 일상생활-인도북부 미야비가 마을을 중심으로-

Hindu Women’s daily life of India-Based on Miya Bigha village in northern India-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조선 후기 京衙前 書吏 가계 연구 -承文院 書吏 馬聖麟(1727~1798) 가계의 사례-

A Study on the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Lineages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A Case of SungMunWon(承文院) Seoli(書吏) Ma Seong-Lin(馬聖麟, 1727~1798) Lineage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京衙前 書吏 가계 연구 -承文院 書吏 馬聖麟(1727~1798) 가계의 사례-

A Study on the GyeongAJeon(京衙前) Seoli(書吏) Lineages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A Case of SungMunWon(承文院) Seoli(書吏) Ma Seong-Lin(馬聖麟, 1727~1798) Lineage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초기 기독교의 혼인담론 -조혼, 축첩, 자유연애를 중심으로-

Discourses on Marriage in Early Modern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early marriage,” “concubinage,” and “free love”

한국기독교와 역사 | 32 | 2010 | 교회사

초기 기독교의 혼인담론 -조혼, 축첩, 자유연애를 중심으로-

Discourses on Marriage in Early Modern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early marriage,” “concubinage,” and “free love”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2 | 2010 | 교회사

식민지 조선의 “본부살해(本夫殺害)” 사건과 재현의 정치학: ‘조선적’ 범죄의 구성과 식민지적 ‘전통’

The Cases of “Women Murderers of Husband” and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Colonial Korea

사학연구 | 102 | 2011 | 역사학

일제시대 여성 출분(出奔) 연구

A Study on Women’s Absco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개화 지식인들의 조혼(早婚)에 대한 인식- 『독립신문』의 논설을 중심으로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perception of the Issue of “Early Marriages(早婚)”-Examination of the Editorials of Dokrib Shinmun

여성과 역사 | 16 | 2012 | 여성사(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