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지방

연구분야 : G100800 예술체육 > 체육 > 운동생리학/처방

클래스 : 신체(물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22

STNet ID : 1000419

한자 : 腹部脂肪
영어 : belly fat

a01-08-02 신체(물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8-02 신체(물질) 신체(물질)

지방 (기름) [ 脂肪 ]

N2:부분

containsSubstance (구성물질(자연물))

 

a01-08 신체 신체

복부 내장 지방 [ 腹部內臟脂肪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복부 지방률 [ 腹部 脂肪率 ]

affects (영향)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복부 비만 [ 腹部 肥滿 ]

당뇨병 유ㆍ무에 따른 척수장애인의 복부지방,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비교

Comparison of Abdominal Fat, Adipocytokin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etween Diabetes Group and None-diabetes Group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8 | 3 | 2010 | 특수/장애인체육

당뇨병 유ㆍ무에 따른 척수장애인의 복부지방,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비교

Comparison of Abdominal Fat, Adipocytokin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between Diabetes Group and None-diabetes Group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8 | 3 | 2010 | 특수/장애인체육

태권도수련이 복부비만 노인여성의 복부지방과 신기능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Abdominal Fat, Kidney Function and Inflammatory Factors in Abdominal Obese elderly Women

대한무도학회지 | 13 | 3 | 2011 | 무도학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 당뇨병환자의 복부지방, 체력, 아디포카인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 Weeks of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on 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Female Elderly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체육과학연구 | 23 | 3 | 2012 | 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