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

연구분야 : A029900 인문학 > 역사학 > 기타역사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기원/유래/파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58

STNet ID : 1000421

한자 : 本貫

e04-01 인위적공간

x03-01 기원/유래/파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원적 [ 原籍 ]

UF (비우선어)

 

 

본 [ 本 ]

UF (비우선어)

 

 

관향 [ 貫鄕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성씨 () [ 姓氏 ]

RT (관련어)

 

 

성(姓) (인명) [ 姓 ]

古文書를 통해 본 族譜 編刊 과정상의 紛爭

Disputes in the Process of Jokbo Compilation Found in Antique Documents

한국학논집 | 44 | 2011 | 기타인문학

『輿地圖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전라도의 改貫 실태

A Study on Changes of Family Origins in Jeonrado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based on Yeojidoseo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輿地圖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전라도의 改貫 실태

A Study on Changes of Family Origins in Jeonrado in the Latter Half of Chosun based on Yeojidoseo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The social position and changes of mongolia posterity who were reside Jeju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 The case analysis of Bongwan(family origin) ‘daewyon’ listed in Hojeokjungcho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