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74

STNet ID : 1000422

한자 : 存在論
독일어 : Ontologie
영어 : ontology

d01-01 이론/사상

대상주제

존재 (存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존재 철학 [ 存在哲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차이의 존재론 [ 差異--存在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살의 존재론 [ --存在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건 존재론 [ 事件存在論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제일질료 [ 第一質料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존재론적 차이 () [ 存在論的差異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현실적 존재자 () [ 現實的存在者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파르메니데스 [Parmenides]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본체론 [ 本體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형이상학 () [ 形而上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실체, 체계, 구조 (1955) [ 實體--體系--體系 ]

모방과 창조

Mimesis and Poiesis

음악이론포럼 | 17 | 2010 | 서양음악이론/분석

모방과 창조

Mimesis and Poiesis

음악이론포럼 | 17 | | 2010 | 서양음악이론/분석

권위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고찰

What is Authority? -An Inquiry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가톨릭철학 | 14 | 2010 | 철학

권위에 대한 철학적 인간학적 고찰

What is Authority? -An Inquiry Based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가톨릭철학 | | 14 | 2010 | 철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6 | 2010 | 원불교학

유·불·선(儒佛仙) 삼교(三敎)의 주체적 수용을 통한 원불교 개체성 확립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Notion of Individuality in Won-Buddhism in Relation to the Subjective Accepta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6 | 2010 | 원불교학

기독교 신비주의의 두 흐름과 T. S. 엘리엇의 존 던에 대한 재평가

Two Streams of Christian Mysticism and T. S. Eliot’s Revaluation of John Donne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A Review of Object and Field Perspective on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개체(個體: object)와 장(場: field) 관점에서의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MAUP)에 관한 재조명

한국지도학회지 | 11 | 1 | 2011 | 지도학

종교영화에 나타난 인간 존재론과 구원 -박찬욱 <박쥐>와 김기덕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을 중심으로-

The Human Ontology and Salvation in the Religious Film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34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 34 | 2010 | 윤리교육학

원불교 ‘마음공부’ 본질에 관한 서설(敍說)(Ⅰ)

An Explanation on a Nature of ‘Mind-Practice’in Won-Buddhism(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 ‘마음공부’ 본질에 관한 서설(敍說)(Ⅰ)

An Explanation on a Nature of ‘Mind-Practice’in Won-Buddhism(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

The Status of Uisang and Fazang in East Asian Huayan Studies

불교학보 | 61 | 2012 | 기타불교학

박정희 정권기 개발독재 비판―비교역사사회학적 접근

A Critique of Park Chung Hee’s Developmental Dictatorship: Comparative Historical Sociological Approach

역사비평 | 95 | 2011 | 역사학

니체의 영겁회귀 관점에서 바라본 후천개벽의 존재론적 특성

Die Charakteristik des 2nd Gaebyeoks hinsichtlich der Wiederkunftslehre Nietzsches

동학학보 | 23 | 2011 | 역사학

들뢰즈의 ‘차이’의 개념으로 본 오지호 연구

A study on Oh Ji-ho through the concept of Gilles Deleuze, 'difference.'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

Heideggers Phae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vo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해석학연구 | 25 | 2010 |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

Heideggers Phae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vo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해석학연구 | | 25 | 2010 | 철학

L'Habitus en tant qu’anti-subjectivisme: Bourdieu et Sartre

반주체주의로서 아비투스; 부르디외와 사르트르

프랑스 문화 연구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L'Habitus en tant qu’anti-subjectivisme: Bourdieu et Sartre

반주체주의로서 아비투스; 부르디외와 사르트르

프랑스 문화 연구 |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26 | 2010 | 철학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 26 | 2010 | 철학

한국 도덕윤리의 기초정립을 향하여: 지능적 도덕교육에서 본능적 도덕교육으로

For a Basic Orientation towards Korean Moral Education: From Intellectual Education to Instinctive Education

신학전망 | 175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사회생태적 정의론을 위한 존재론적 모색: 알랑 바디우의 존재론을 활용하여

Ontological Approach to Socio-Eco Justice

한국조직신학논총 | 33 | 2012 | 조직신학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과 학문간 융합 -인지과학 새 패러다임과 철학의 연결이 주는 시사-

‘Embodied Cognition’ Paradigm in Cognitive Science and Convergence across Disciplines —Implications of Connecting New Approach in Cognitive Science and Philosophy—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과 학문간 융합 -인지과학 새 패러다임과 철학의 연결이 주는 시사-

‘Embodied Cognition’ Paradigm in Cognitive Science and Convergence across Disciplines —Implications of Connecting New Approach in Cognitive Science and Philosophy—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公孫龍과 後期墨家에 대한 화용론적 해석

A pragmatics-based interpretation of Gongsun Long and Neo-Mohists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公孫龍과 後期墨家에 대한 화용론적 해석

A pragmatics-based interpretation of Gongsun Long and Neo-Mohists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칸트와 헤겔에 있어서 형이상학

Metaphysic in the Philosophy of Kant and Hegel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자율로봇의 드로잉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

An Ontological Analysis on Drawing by an Autonomous Robot

기초조형학연구 | 12 | 2 | 2011 | 예술일반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Karl Barth's Position of Mutual Correspondence on the Immanent-Economic Trinity Relation

장신논단 | 37 | 2010 | 기독교신학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대한 칼 바르트의 상호상응의 입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Karl Barth's Position of Mutual Correspondence on the Immanent-Economic Trinity Relation

장신논단 | | 37 | 2010 | 기독교신학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자 연철학에서 무엇을 배웠나?- 물질의 기본 단위로서 4요소 이론의 경우 -

What Plato learns from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 In the Case of the Theory of four Elements -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삼위일체론에 대한 과정신학의 반응들

Some Responses of Process Theology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삼위일체론에 대한 과정신학의 반응들

Some Responses of Process Theology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

토마스 하디의『테스』와 비극의 해석학

T. Hardy’s Tess and Tragic Hermeneut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토마스 하디의『테스』와 비극의 해석학

T. Hardy’s Tess and Tragic Hermeneutics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河西 성리학의 철학사적 고찰 -한국유학사에서 知覺論의 태동과 하서의 역할-

A Study on Ha-seo's Philosophical Thought: The Emergence of Chih-Chüeh Theory and His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河西 성리학의 철학사적 고찰 -한국유학사에서 知覺論의 태동과 하서의 역할-

A Study on Ha-seo's Philosophical Thought: The Emergence of Chih-Chüeh Theory and His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후설과 헤겔 ―초월론적 지역현상학의 방법으로서 환원, 변증법, 해석―

Husserl and Hegel -Reduction, Dialectics, and Hermeneutics as the Methods of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Regional Studies-

철학 | 107 | 2011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에 함축된 내재적인 동일성의 운동

Le mouvement de l'identité immanente impliqué dans l'ontologie de Deleuze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에 함축된 내재적인 동일성의 운동

Le mouvement de l'identité immanente impliqué dans l'ontologie de Deleuze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103 | 2010 | 철학

엄밀한 학이 아닌 엄연한 지역학으로서 철학-제1부 ― 후설의 후기현상학에서 생활세계개념의 지역학적 개진 ―

Philosophy as Rigorous Regional Studies, not as Rigorous Science, Part One - Developing Life-World Phenomenology in Later Husserl into Transcendental ‘Regional Studies’ -

철학 | | 103 | 2010 | 철학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Etre, vérité et sujet dans la philosophie d'Alain Badiou : autour de L'être et l'événement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 작은 대립과 큰 대립, 작은 종합과 큰 종합의 존재론

L’ontologie de Deleuze : L’ontologie fondée sur la petite opposition, la grande opposition, la petite synthèse et la grande synthès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들뢰즈의 존재론: 작은 대립과 큰 대립, 작은 종합과 큰 종합의 존재론

L’ontologie de Deleuze : L’ontologie fondée sur la petite opposition, la grande opposition, la petite synthèse et la grande synthèse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에 나타난 존재론적 양상

Aspect ontologique dans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de Michel Tournier

불어불문학연구 | 8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의미의 존재론에 대한 소고: 위반과 침묵의 해석학을 향하여

A Thought on the Ontology of a Meaning: Towards A Hermeneutics of Transgression and Silence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의암 손병희의 ‘이신환성’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What Does the 'Transforming of the Body to the Nature' Mean Philosophically for Uiam(義菴) Son Byunghi(孫秉熙)?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M.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

A Study on Heidegger's Ontological Hermeneutics

해석학연구 | 29 | 2012 | 철학

자하 하디드의 해체건축에 나타난 노마디즘의 존재론적 해석 - 들뢰즈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

Nomadism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of Zaha Hadid Based on the Ontology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존재에서 연역된 윤리학: 플라톤과 루소

Ethics Deducted from Being: Plato and Rousseau

교육철학연구 | 33 | 1 | 2011 | 교육학

인문학으로서 지리학과 지리교육 -존재이유를 묻다-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as the Humanities: Ask the Raison D’ˆetre

대한지리학회지 | 45 | 6 | 2010 | 지리학

인문학으로서 지리학과 지리교육 -존재이유를 묻다-

Geography and Geography Education as the Humanities: Ask the Raison D’ˆetre

대한지리학회지 | 45 | 6 | 2010 | 지리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50 | 2010 | 철학

송대 신유학에 대한 대진의 계승과 비판 ― 존재론적 체계를 중심으로

戴震的對宋代新儒家繼承與批評 ― 論本體論結構爲中心

대동철학 | | 50 | 2010 | 철학

글쓰기와 읽기를 통해본 나보코프의 존재론적 사유:『창백한 불꽃』의 메타픽션적 존재론

Nabokov's Ontological Thought in His Writing and Reading: Metafictional Ontology in Pale Fire

영미어문학 | 99 | 2011 | 영어와문학

레비나스에게서 존재론의 의미

La signification de l'ontologie chez Emmanuel Lévinas

해석학연구 | 29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