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 섹터

연구분야 : B0901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사회복지학일반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361

STNet ID : 9008182

한자 : 第三--
영어 : the third sector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제3의영역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민간 부문 () [ 民間部門 ]

hasComponent (구성요소)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공공 부문 () [ 公共部門 ]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공동 생산 [ 共同生産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비정부 기구 [ 非政府機構 ]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와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NGO의 역할

The Role of NGOs to the Global Economic Governance and Global Network

시민사회와 NGO | 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와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NGO의 역할

The Role of NGOs to the Global Economic Governance and Global Network

시민사회와 NGO | 8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도서지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일본 시마네현 오키군 아마쵸(海士町)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Industrial Revitalization on the Islands Area -A Case Study of Ama Town, Oki District, Shimane Prefecture in Japan-

『도서문화』 | 39 | 2012 | 기타인문학

생명위기 시대에서 생태 민주주의의 역할 - 가타리의 생태학적 구도와 주체성 논의를 중심으로

The Role of Ecological Democracy in Life Crisis Period : Guattari’s Ecological Plan and Subjectivity Discussion

기억과 전망 | 25 | 2011 | 사회학

일본 세타가야 트러스트 마치즈쿠리와 시민참여형 제3섹터

A case of the Citizen-participating 3rd sector, Setagaya Trust Machizukuri, on Setagaya, Tokyo in Japan

한국지방자치연구 | 13 | 4 | 2012 | 기타행정학

제3섹터 운영효율화를 위한 제도적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Third Sector For Effectiveness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1 | 2010 | 정책학

제3섹터 운영효율화를 위한 제도적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Third Sector For Effectiveness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1 | 2010 | 정책학

영국의 제3섹터 정책과 사회적 기업 정책: 노동당 공동체주의로 이해하기

British Third Sector Policy and New Labour's Communitarianism

한국사회정책 | 17 | 2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

영국의 제3섹터 정책과 사회적 기업 정책: 노동당 공동체주의로 이해하기

British Third Sector Policy and New Labour's Communitarianism

한국사회정책 | 17 | 2 | 2010 | 의료/복지/사회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