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천

연구분야 :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자연(광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547

한자 : 溫泉
영어 : hot spring

a03-03 자연(광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_X (관련어►)

관련 개념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지하수 [ 地下水 ]

RT_X (관련어►)

관련 개념

 

광천 [ 鑛泉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온천 관광지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동래 온천

hasInstance (사례)

 

 

해운대 온천

hasInstance (사례)

 

 

부곡 온천

hasInstance (사례)

 

 

수안보 온천

hasInstance (사례)

 

 

아산 온천

hasInstance (사례)

 

 

도고 온천

hasInstance (사례)

 

 

온양 온천 [ 溫陽溫泉 ]

hasInstance (사례)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유성 온천 () [ 儒城溫泉 ]

켈리포니아 라쎈 화산 국립공원의 지형경관

Geomorphic Landscape of Lassen Volcanic National Park California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켈리포니아 라쎈 화산 국립공원의 지형경관

Geomorphic Landscape of Lassen Volcanic National Park California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나쓰메 소세키가 체험한 온천을 통해 본 중국특유의 정취 고찰 -『만한 이곳저곳(満韓ところどころ)』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nese unique atmosphere through hot spring experiences of Natsume Soseki -in the work 『Mankan Dokorodokoro』 -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한국 온천문화와 의료관광

Korean Hot Spring Culture and Medical Tourism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草枕)』와 이광수의 『재생』 비교연구-주인공의 온천체험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Natsume Soseki 『KUSAMAKURA』 and Lee, Gwang Su 『JAE-SAENG』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the spa experience-

일어일문학 | 49 | 2011 | 일본어와문학

근대 일본에 있어서 「심상공간」으로서의 온천문화연구 -『온천안내』와『온천순례』를 중심으로 -

日本語文學 | 1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근대 일본에 있어서 「심상공간」으로서의 온천문화연구 -『온천안내』와『온천순례』를 중심으로 -

日本語文學 | 1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온천관광지의 다차원 포지셔닝 연구

A Study on the Multidimensional Positioning for Spa Destination:Case of Korea's top rated seven Spa

관광학연구 | 35 | 9 | 2011 | 관광학

온천 웰니스체험이 지리적 공간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일본 간 비교연구

Effects of Wellness Experiences at Hot Springs on Quality of Life in Geographic Area: Comparison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