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국주의

연구분야 : B0201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정치이론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642

한자 : 軍國主義
영어 : militar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대륙정책 [ 大陸政策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일본 내셔널리즘 [ 日本--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일본 파시즘 [ 日本--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파시즘 [fascism]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과 아테네의 패권주의 -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오만(hybris)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Personal ‘Hybris’ of the Persian King and Militaristic Hegemony of Athens -On the Different Concepts of ‘Hybris’ between Herodotos and Thucydides -

서양고대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 선전: 야마와키 아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The Reception of 'Bauhaus Photographies' and Propaganda in Modern Japan: Rethinking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근대일본의 '바우하우스 사진' 수용과 국가 선전: 야마와키 아와오의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조명을 통하여

The Reception of 'Bauhaus Photographies' and Propaganda in Modern Japan: Rethinking of Yamawaki Iwao's Photomontage

미술이론과 현장 | 0 | 9 | 2010 | 미술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과 아테네의 패권주의 -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오만(hybris)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Personal ‘Hybris’ of the Persian King and Militaristic Hegemony of Athens -On the Different Concepts of ‘Hybris’ between Herodotos and Thucydides -

서양고대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문화적 재현과 그 의미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극적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Kim Ok-gyun in Colonial Korea and it's Meaning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남근지배: 고대 아테네문화의 자기파멸적 미학

Phallocracy: Aesthetics of Self-Destruction in the Ancient Athens

영미어문학 | 99 | 2011 | 영어와문학

1930년대 시에 나타난 배반자 이미지 고찰 ― 학생 글쓰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age of collaborators in 1930s poems ― with students' writing

한국시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기 스파르타의 교육과 ‘군사사회’

Classical Spartan education and 'military society'

서양사연구 | 46 | 2012 | 기타서양사

Anti-Americanism and Structural Violence in North Korea

북한의 반미사상과 구조적 폭력

도덕윤리과교육 | 30 | 2010 | 교육학

Anti-Americanism and Structural Violence in North Korea

북한의 반미사상과 구조적 폭력

도덕윤리과교육 | | 30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