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연구분야 : C080106 자연과학 > 지구과학 > 환경지구과학 > 자연재해방재학

클래스 : 상태/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747

한자 : 山沙汰
영어 : landslide

c03-01 상태/상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산태 [ 山汰 ]

UF (비우선어)

 

 

산붕괴 [ 山崩壞 ]

UF (비우선어)

 

 

산붕 [ 山崩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매스무브먼트 [mass movement]

이상기후와 우리나라의 산사태

Abnormal Climate and Landslide in South Korea

기후연구 | 7 | 2 | 2012 | 기후학

토석류 유발 특성인자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경사, 하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Study on Analyzing Characteristics Which Causes a Debris Flow - Focusing on the Relation with Slope and River -

Crisisonomy | 7 | 3 | 2011 | 정책학일반

효과적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방안: 우면산 산사태를 중심으로

The Construction Direction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Governance - Focusing on Woomyeonsan Landslide -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1 | 2012 | 행정학

강우자료의 통계적 해석을 통한 산사태 발생 분류

Classific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using Statistic Analysis of Rainfall Data

Crisisonomy | 6 | 3 | 2010 | 정책학일반

강우자료의 통계적 해석을 통한 산사태 발생 분류

Classific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using Statistic Analysis of Rainfall Data

Crisisonomy | 6 | 3 | 2010 | 정책학일반

등고선지도를 이용한 수로 및 산사태 위험 분석 -천안의 성거산을 중심으로-

A risk analysis of water courses and landslide using contour maps -Focusing on Mt. Seonggo in Cheonan City-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6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산지토사재해 발생 예측을 위한 토양우량지수 적용가능성 검토

Verifying of Soil Water Index for Sediment Disaster Triggering in Mountainous Area

Crisisonomy | 7 | 4 | 2011 | 정책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