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서사로서의 <햄릿>과 기국서의 연극사적 위치 -<기국서의 햄릿> 연작을 중심으로-
Hamlet as an epic 5ㆍ18 and Ki Kukseo's position in Korean theatre history -focused on Ki Kukseo's Hamlet serie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4월혁명의 기억과 글쓰기 ― 문학 속의 4ㆍ19, 특히 소설을 중심으로 ―
The Memory of April Revolution and Writing ― Focussing on April Revolution in Literature, Particularly in Novels ―
작문연구 |
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외재하는 적’에서 ‘내재하는 적’과의 각축으로
경제와 사회 |
86 |
2010 |
사회학
‘외재하는 적’에서 ‘내재하는 적’과의 각축으로
경제와 사회 |
|
86 |
2010 |
사회학
광주항쟁과 애국적 민주공화주의의 탄생 : 저항적 시민사회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
한국사회학 |
45 |
2 |
2011 |
사회학
바깥으로 나가는 역사, 5·18
Going-outward-history, 5·18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바깥으로 나가는 역사, 5·18
Going-outward-history, 5·18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한국사회에서 저항의 고조기의 정체성 정치의 특성 : 1970~1980년대 저항정체성 담론과 광주항쟁
Identity Politics at the Peak of Protest Cycles : in South Korea Identity Discourses of Protest Movements in the 1970s~1980s and the Gwangju Uprising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전두환·노태우 정권과 한미관계 ― 광주항쟁에서 6월항쟁을 거쳐 6공화국 등장까지
ROK-U.S. Relations during Chun & Roh regime : Kwangju Uprising, the Great June Struggle and the birth of 6th Republic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전두환·노태우 정권과 한미관계 ― 광주항쟁에서 6월항쟁을 거쳐 6공화국 등장까지
ROK-U.S. Relations during Chun & Roh regime : Kwangju Uprising, the Great June Struggle and the birth of 6th Republic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국가폭력에 대한 기억투쟁: 5∙18과 4∙3 비교연구
The Struggle of Memory About the State Violonce: Comparing on Massacres of Gwangju and Jeju in South Korea
Oughtopia (오토피아) |
26 |
1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시민사회의 사회운동 기념물 건립과 표상: ‘5·18’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onstruction and Representation of Memorial on the Social Movement by Civil Society: Focused on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May-Movement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5·18 30주년 언론보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Reports Regard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
5·18 30주년 언론보도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Reports Regard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언론과학연구 |
10 |
4 |
2010 |
신문방송학
5·18광주민주항쟁의 기억과 교육
The Memory and Teaching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c Uprising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5·18광주민주항쟁의 기억과 교육
The Memory and Teaching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c Uprising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항쟁 공동체와 지양된 국가: 5·18 공동체론을 위한 철학적 시도
Uprising-Community and aufgehobener State:Philosophical Attempt to understand the 5·18-Community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항쟁 공동체와 지양된 국가: 5·18 공동체론을 위한 철학적 시도
Uprising-Community and aufgehobener State:Philosophical Attempt to understand the 5·18-Community
민주주의와 인권 |
10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부끄러움’과 ‘남은 자들’: 최후항전을 이해하는 두 개의 키워드
‘Shame’ and ‘Remnants’: An Interpretation of the Last Stand in Gwangju Uprising
민주주의와 인권 |
12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체면과 분노 -광주항쟁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hemyon and Anger shown in Gwangju Resist and May Movement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체면과 분노 -광주항쟁과 5월운동을 중심으로-
Chemyon and Anger shown in Gwangju Resist and May Movement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언론과 5.18 광주민주화운동 담론: 「동아일보」의 보도 기사와 사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5.18 Discourse in Korean Newspaper: An Analysis of the Dong-A Ilbo
한국언론정보학보 |
58 |
2 |
2012 |
신문방송학
광주항쟁과 천주교회의 진실 알리기
The Catholic Church Conveys the Truth about the Gwangju Resistance
신학전망 |
178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5‧18을 기억한다
How to remember 5‧18
신학전망 |
169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5‧18을 기억한다
How to remember 5‧18
신학전망 |
|
169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5·18 30주년 이후 5월극 방향성 연구 -2011광주평화연극제 주제공연을 중심으로-
Research on Directions of Play in May since the 30th Anniversary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Centering around the 2011 Gwangju Peace Theater Festival
드라마 연구 |
36 |
2012 |
연극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