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체제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126

한자 : 北韓體制
영어 : North Korea regime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회주의 체제 () [ 社會主義體制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북한체제의 개별성 [ 北韓體制個別性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국방위원장 () [ 國防委員長 ]

RT (관련어)

 

 

시민 사회론 [ 市民社會論 ]

RT (관련어)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북한 체제 변화 [ 北韓體制變化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구조 기능주의 이론 [ 構造機能主義理論 ]

제3장 북한의 강제수용소의 현실과 개선방향

The Study for North Korea Prison Camps's Actuality and Improvement

통일전략 | 11 | 1 | 2011 | 북한정치/통일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Kim Jong Il's Power Succession and the Prospect of North Korean System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Kim Jong Il's Power Succession and the Prospect of North Korean System

통일연구 | 1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김정일 시대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강화와 한계

A Study on Social Control by Intelligence and Security Agency in North Korea

북한학보 | 35 | 2 | 2010 | 북한

김정일 시대 공안기관의 사회통제 강화와 한계

A Study on Social Control by Intelligence and Security Agency in North Korea

북한학보 | 35 | 2 | 2010 | 북한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1`2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 on the Nuclear Issues during the Hu Jintao Era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후진타오시기 중국의 대북정책 기조와 북핵 인식: 1`2차 핵실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China’s North Korean Policy Keynotes and Perceptions on the Nuclear Issues during the Hu Jintao Era

통일정책연구 | 19 | 1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체제에서 계획과‘사회적 종합’ (1953~69년)

The Plan and‘ Social Synthesis’in the North-Korean System(1953~69)

한국정치학회보 | 45 | 1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