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할당제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H050400 복합학 > 여성학 > 여성정책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519

STNet ID : 9005296

한자 : 女性割當制
영어 : gender quota system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여성 고용 할당제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여성 정책 [ 女性政策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여성 임원 할당제 [ 女性任員割當制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역차별 [ 逆差別 ]

해방 후 독립촉성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Promotio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or Dokchokbuinhwe) after Korea’s Independenc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2 | 2010 | 역사학

해방 후 독립촉성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Promotion Patriotic Women’s Association(or Dokchokbuinhwe) after Korea’s Independenc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2 | 2010 | 역사학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 선거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Alternatives for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Electoral Participation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4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6.2 지방선거의 의미와 쟁점:정당 공천을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and Issues of the 2010 Local Elec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rty Nominations

의정논총 | 6 | 1 | 2011 | 정치행정

공직선거제도에서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 -공직선거법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of gender quota system i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centered on the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공직선거제도에서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 -공직선거법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Review of the appropriateness of gender quota system i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centered on the revision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System-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지방정부에서 여성정치 리더십: 멕시코의 사례

Liderazgo político de las mujeres en los gobiernos locales de México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지방정부에서 여성정치 리더십: 멕시코의 사례

Liderazgo político de las mujeres en los gobiernos locales de México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3 | 2010 | 지역학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국가 여성의 정치 참여 : 의회에서의 여성 대표성을 중심으로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Eastern Europe since system transition: Focused on 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국가 여성의 정치 참여 : 의회에서의 여성 대표성을 중심으로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Eastern Europe since system transition: Focused on 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정치·정보연구 | 13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성정치할당제의 대안과 전망-스웨덴의 페미니스트 정당과 일본의 지역정당을 중심으로

An Alternative Approach to Electoral Gender Quotas-Focusing on the Feminist Party in Sweden and Local Parties in Japan

동향과 전망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

여성정치할당제의 대안과 전망-스웨덴의 페미니스트 정당과 일본의 지역정당을 중심으로

An Alternative Approach to Electoral Gender Quotas-Focusing on the Feminist Party in Sweden and Local Parties in Japan

동향과 전망 | | 79 | 2010 | 사회과학일반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Les quatas par sexe pour développer la participation des femmes dans la vie politique et l'égalite des sexes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참여를 높이기 위한 정당공천 여성할당제와 남녀평등

Les quatas par sexe pour développer la participation des femmes dans la vie politique et l'égalite des sexes

세계헌법연구 | 16 | 2 | 2010 | 법학

한국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증가와 여성정치할당제의 제도화

The Increase in the Political Representativeness of Korean Women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Gender Quota System

평화학연구 | 12 | 4 | 2011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