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G030301 예술체육 > 미술 > 응용미술 > 공예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03

STNet ID : 9009004

한자 : 粉靑沙器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분장청회사기 () [ 粉粧靑灰沙器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도자기 () [ 陶瓷器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진사자기 () [ 辰沙瓷器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가마 () [kiln]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조선도공 [ 朝鮮陶工 ]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55 | 2010 | 역사학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 55 | 2010 | 역사학

「遊(노닒)」개념을 통한 분청사기문양 연구

A Study of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motif, through the concept of 「Play」

조형미디어학 | 15 | 1 | 2012 | 기타미술

분청사기 시문기법(施文技法)에 나타난 미감적 특성 고찰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inscribed pattern techniques of Buncheongsagi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