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증거

연구분야 : B130100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147

한자 : 傳聞證據
영어 : hearsay evidence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형사 소송법 제314조 () [ 刑事訴訟法第314條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특신 상태 [ 特信 狀態 ]

RT (관련어)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전문법칙 [ 傳聞法則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c01-04 능력/힘/에너지 /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증거능력 [ 證據能力 ]

현행 조서관련 규정에 관한 비판적인 고찰 - 비교법적인 고찰을 통한 현행 규정의 검토와 대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

Critical Consideration on Current Regulations concerning Protocols of Examination - Comparative Study and Alternative Suggestions -

저스티스 | 131 | 2012 | 기타법학

현행 공판중심주의의 운용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s Operational Plan of Suggestions on the current Trial-base Principle

법학논총 | 18 | 2 | 2011 | 비교법학

실황조사서와 그에 기재된 피의자 독립진술의 증거능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ite investigation report and suspected person’ independent statements in site investigation report

법학연구 | 20 | 1 | 2012 | 기초법

증거동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Study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동아법학 | 48 | 2010 | 법학

증거동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Study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동아법학 | | 48 | 2010 | 법학

日本における伝聞法則の例外適用をめぐる実務の現状と課題 - 検察官面前調書を中心として -

법학논총 | 18 | 2 | 2011 | 비교법학

형사증거법상 사진의 증거능력 제한

Die Beschränkung der Beweisfähigkeit des Photos im Strafrechtlichen Beweisrecht

일감법학 | 22 | 2012 | 기타법학

국가보안법 사건에서 전문법칙의 적용 문제– 왕재산사건 제1심 판결에 나타난 전문법칙의 적용범위에 대한 비평

Application of the Hearsay Rule in the Cases of National Security Law

민주법학 | 49 | 2012 | 법학

피의자진술의 법정현출방식과 조사자증언의 증거능력

Einbringungsweise der Beschuldigtenaussagen zum Gericht und die Beweisfähigkeit des Ermittlerzeugnisses

비교형사법연구 | 12 | 1 | 2010 | 법학

피의자진술의 법정현출방식과 조사자증언의 증거능력

Einbringungsweise der Beschuldigtenaussagen zum Gericht und die Beweisfähigkeit des Ermittlerzeugnisses

비교형사법연구 | 12 | 1 | 2010 | 법학

탄핵증거의 허용성과 조사방법에 관한 소고 - 전자적 문서의 탄핵증거능력 문제를 포함하여 -

A Study on the permission and examination method of impeachment evidence - including the problem of the impeachment evidence’s admissibility of electronic document -

인권과 정의 | 414 | 2011 | 법학

개정 형사소송법 제316조에 대한 고찰 - 조사자 증언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mended Code of Criminal Procedure 316

성균관법학 | 23 | 2 | 2011 | 법학

탄핵(彈劾, impeachment)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eachment

법학연구 | 53 | 3 | 2012 | 기초법

형사소송에서의 직접심리주의의 의미

Unmittelbarkeitsgrundsatz im Strafverfahren

법학연구 | 36 | 2012 | 법학교육

私人이 비밀녹음한 테이프의 증거능력과 私人에 의한 함정수사

Evidence ability of the tape which is recorded by a private individual and Entrapment by a private individual

법학연구 | 19 | 2 | 2011 | 기초법

진술증거의 전문증거성과 진정성 문제의 구별

The Difference of the Elements of the Hearsay Rule From Those of the Authentication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적용문제 - 그리고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입법론 -

Issues in Applying the Article 314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to the Report by Questioning the Suspect

경찰학연구 | 11 | 3 | 2011 | 법학

Hearsay Rules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 Focused on the justification of the hearsay rule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한국 형사소송법상의 전문법칙 - 전문법칙의 근거와 전문증거의 범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 46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