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미술

연구분야 : G030205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민속/전통종교미술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20

STNet ID : 9003243

한자 : 佛敎美術
영어 : Buddhist Art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종교 미술 [ 宗敎美術 ]

isKindOf (상위 유형)

 

 

동양 미술

N1:종류

hasKind (종류)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불교 도상 () [ 佛敎圖像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불교 판화 [ 佛敎版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불화 [ 佛畵 ]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간다라 미술 [ --美術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불교 미술학 [ 佛敎美術學 ]

RT (관련어)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단청 [ 丹靑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아스카시대 [ 飛鳥時代 ]

朝鮮 世祖代의 佛敎美術 硏究

A Study on the Buddhism Art in the King SeJo periods of Chosun Dynasty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단단-윌릭 회화의 특색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Peculiarity of the Paintings in Dandan-Uiliq

중앙아시아연구 | 16 | 2011 | 역사학

불교문화 삼원론

Three Primary Categories of Buddhist Culture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불교문화 삼원론

Three Primary Categories of Buddhist Culture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도상학은 정말 중요한가? :밀교 출현 이전 불상의 존명 규정/판별에 관하여

Does Iconography Really Matter? :The Iconographic Specification of Buddha Images in Pre-Esoteric Buddhist Art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서울지역 佛敎文化의 展開 過程과 特徵 -石造美術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n Seoul Area -Focus on Stone Buddhist Art-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한국불교문화의 만(卍)과 연화문에 대한 연구 - 상징성을 중심으로 -

Korea's Buddhist Culture Studies on The Svastika & Lotus - Focused on Symbolism -

정보디자인학연구 | 14 | 2 | 2011 | 정보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