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G030202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소조/조각/조소
G030205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민속/전통종교미술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40

한자 : 佛像
영어 : Buddhist statue
영어 : Buddhist sculpture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불교 조각 [ 佛敎彫刻 ]

N1:종류

hasKind (종류)

대상

 

관음보살상 () [ 觀音菩薩像 ]

hasKind (종류)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삼세불상 () [ 三世佛像 ]

hasKind (종류)

양식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마애불 [ 磨崖佛 ]

hasKind (종류)

양식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소조불 [ 塑造佛 ]

hasKind (종류)

재료

A04 인공물 인공물

금동불 [ 金銅佛 ]

hasKind (종류)

지역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간다라 불상 [ --佛像 ]

hasKind (종류)

지역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한국 불상 [ 韓國佛像 ]

hasKind (종류)

지역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중국 불상 [ 中國佛像 ]

hasKind (종류)

지역

 

일본 불상 [ 日本佛像 ]

hasKind (종류)

대상

 

비로자나불상 () [ 毘盧遮那佛像 ]

hasKind (종류)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아미타불상 [ 阿彌陀佛像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불교 고고학 [ 佛敎考古學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오존불 [ 五尊佛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관봉 석조여래좌상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보경사 불상군 (중국) [ 寶慶寺佛像群 ]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9 | 2010 | 미술

17세기 중후반 운혜파의 조상 활동: 운혜와 경림

Unhye and Gyeongrim: The Masters of the Unhye School in the mid-late 17th century Korea

미술사와 시각문화 | | 9 | 2010 | 미술

朝鮮前期 寺刹의 亡廢와 遺物의 消失

A Study on the Collapse of Buddhist Temples and the Loss of Their Artifact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황룡사지 출토 불교조각

Buddhist Statues Discovered at Hwangryongsa Site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조각승 勝日과 勝日派의 造像 활동

Monk Sculptor Seungil and Seungil School in the mid 17th century Korea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조각승 勝日과 勝日派의 造像 활동

Monk Sculptor Seungil and Seungil School in the mid 17th century Korea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百濟와 中國南朝의 金銅一光三尊像에 關한 試論

A study on the Gilt Bronze three Statues in a Halo between Baekje and Chinese Nam-dynasty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통일신라 음악고고학 자료의 재조명

Reexamination on Musico-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髻珠에 관한 사상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n Gyeju(髻珠) in Ideological Viewpoint

종교연구 | 61 | 2010 | 종교학

髻珠에 관한 사상적 관점에서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n Gyeju(髻珠) in Ideological Viewpoint

종교연구 | | 61 | 2010 | 종교학

도상학은 정말 중요한가? :밀교 출현 이전 불상의 존명 규정/판별에 관하여

Does Iconography Really Matter? :The Iconographic Specification of Buddha Images in Pre-Esoteric Buddhist Art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석굴암 본존과 광륭사 백제관음을 둘러싼 한일간(韓日間) 시적 반응 및 미의식

The Poetic reaction and an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principal icon-Sakyamuni of Seokguram and the Horyuji kudarakannon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