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 동포

연구분야 : B020303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한국정치사회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570

한자 : 在外同胞
영어 : Overseas Koreans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해외 한인 [ 海外漢人 ]

UF (비우선어)

 

 

재외 한인 [ 在外韓人 ]

UF (비우선어)

 

 

해외 동포 [ 海外同胞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동포 () [ 同胞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교포 () [ 僑胞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재외 동포 정책 [ 在外同胞政策 ]

RT (관련어)

 

 

코리안 디아스포라 () [Korean Diaspora]

‘무(無)의 몸-되기’를 통한 신학과 과학의 연대(連帶): 신비의 근원과 탈 영토화된 몸 안에서 만나다

Solidarity of the Theology and Science through Becoming: The Body of Nothingness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무(無)의 몸-되기’를 통한 신학과 과학의 연대(連帶): 신비의 근원과 탈 영토화된 몸 안에서 만나다

Solidarity of the Theology and Science through Becoming: The Body of Nothingness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침묵하는 타자에서 저항하는 주체로의 귀환 -해외 여성 입양인 문학의 한 지평-

The returned from the silent other to the resistant subject - a study on the overseas adoptee poet Shin Sun Yung and Maya Lee Langvad -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공간과 영토의 미학적 변용과 문화 콘텐츠 - 프로젝트 제안과 함께 -

Une Variation esthétique sur l’espace/le territoire et les contenus culturelsavec la proposition du projet: dans le domaine de l’art publique

인문콘텐츠 | 25 | 2012 | 기타인문학

한민족 네트워크공동체 발전방향과 북한

A Developmental Direction in the Network of Overseas Korean Community inclusive of North Korean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푸코의 계보학에 의한 전통공간디자인의 형태접근에 관한 연구 - 방주교회의 계열화와 질적복수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ormal Approach of the Traditional Spacial Form Design by Genealogy of Foucault - Focusing on Systematization of Bangju Church of Itami Jun and the Qualitative Plurality -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디아스포라와 현대 연변조선족의 상상된 공동체: 종족의 사회적 구성과 재영토화

Diaspora and Contemporary Yanbian Korean Chineseʼs Imagined Community: The Social Construc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of the Ethnic Community

한국사회학 | 46 | 4 | 2012 | 사회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한국 체류 조선족 ‘단체’의 변화와 인정투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Korean-Chinese ‘organization’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in Korea

경제와 사회 | 91 | 2011 | 사회학

근·현대 재일한인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재영토화 연구: 오사카와 도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igr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of Korean-Japanese Diaspora

한국동북아논총 | 16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일국문학ㆍ문화의 탈/경계 -포스트내셔널리즘적 관점의 성과와 전망-

Critical comments on the idea of national literature/culture -What is to be done in post-nationalistic researches-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계 차세대 동포단체의 운영현황과 네트워크 실태 분석: 차세대 동포정책에 주는 함의

A Study on The Networks of Overseas Korean Future Generations and Implications On Korean Government’s Policy Making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전통건축공간의 의미 생성과정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Deterritorization and Re-territorization in The Meaning-Becoming Proces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pace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전통건축공간의 의미 생성과정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Deterritorization and Re-territorization in The Meaning-Becoming Process of Traditional Architecture Space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 동포에게 한국어가 갖는 의미 - 재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하여 -

Meaning of Korean language for overseas Koreans: Pro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한국어교육 | 21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현황과 동포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방향

Current Situations of Overseas Korean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Youths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외동포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행동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라오스 한글학교 부모를 대상으로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Overseas Koreans: Focusing on Laos Korean School Parents

보건사회연구 | 31 | 4 | 2011 | 사회과학일반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 교수요목에 대한 소고 -학습자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The proposal of the syllabus of lectures for Korean residents aborad -the needs analysis–based of learner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Pres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Studies on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LA 지역 재외동포들의 한국 뉴스미디어 노출 및 주목이 모국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문화계발효과검증

The Test of Cultivation Effect: The Effects of Korean Media Exposure and Attention on Korean Immigrant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South Korea

한국방송학보 | 25 | 6 | 2011 | 신문방송학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보급 현황과 발전 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6 | 1 | 2012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