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모

연구분야 : B130310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민법
E140700 의약학 > 산부인과학 > 불임의학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634

STNet ID : 1002113

한자 : 代理母
영어 : surrogate mother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여자

a01-06-03 인간(역할)

성별

여자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출산 대리모 [ 出産代理母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유전적 대리모 [ 遺傳的代理母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인공 수정자 () [ 人工受精者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체외 수정 [ 體外受精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인공 수정 () [ 人工受精 ]

RT (관련어)

 

 

반사회질서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의뢰 부부 () [ 依賴夫婦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生命倫理--安全--關--法律 ]

isSolutionFor (대상 문제/이슈)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불임 [ 不姙 ]

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동아법학 | 46 | 2010 | 법학

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동아법학 | | 46 | 2010 | 법학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Legislation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Focusing on Legal Status of Children-

법조 | 60 | 5 | 2011 | 법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406 | 2010 | 법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 406 | 2010 | 법학

보조생식의료의 법적규제 및 실제에 대한 대처 -대리출산을 중심으로-

生殖補助医療の法的規制と実際への対処 ─ 代理出産を中心に ─

법학연구 | 36 | 2012 | 법학교육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Lived Experience of Psycho-Social Suffering for Surrogate Mother in South Korea: Applied to Parse's Human Becoming Methodology

사회복지연구 | 41 | 4 | 2010 | 사회복지학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Lived Experience of Psycho-Social Suffering for Surrogate Mother in South Korea: Applied to Parse's Human Becoming Methodology

사회복지연구 | 41 | 4 | 2010 | 사회복지학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A study on the motherhood of child who was born through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법과정책연구 | 10 | 1 | 2010 | 법학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A study on the motherhood of child who was born through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법과정책연구 | 10 | 1 | 2010 | 법학

Surrogate Motherhood in Korea; Legislative Theoretical Research

한국의 대리모제도; 그 입법론적 연구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Surrogate Motherhood in Korea; Legislative Theoretical Research

한국의 대리모제도; 그 입법론적 연구

법학연구 | 51 | 4 | 2010 | 기초법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The Character of Surrogacy Birth as Medical Practice and Criminal Justification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대리모 시술의 의료행위성 여부와 형법적 정당화

The Character of Surrogacy Birth as Medical Practice and Criminal Justification

성균관법학 | 22 | 3 | 2010 | 법학

대리모가 낳은 자녀에 대한 친양자 입양 - 일본 神戶家庭裁判所 姬路支部 平成20(2008)年. 12. 26. (家)第60號 判決을 중심으로 -

Full adoption for the child whom surrogate mother gave birth to

법학논고 | 37 | 2011 | 법학

대리모 논란에 대한 법리적 이해

Legal Understandings on the Dispute of Surrogate Mother

법철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대리모계약에 기해 출생한 자의 친자관계 결정기준

Parentage Determinations of a Child Being Carried by a Surrogate Mother

경희법학 | 47 | 3 | 2012 | 비교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