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도

연구분야 : G100500 예술체육 > 체육 > 체육측정평가

클래스 : 지수/지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712

한자 : 肥滿度
영어 : coefficient of fatness

d03-04 지수/지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 a01-05-02 인간(장애/질병) 인간(장애/질병)

중년 비만 여성 [ 中年 肥滿 女性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비만 실태조사 () [ 肥滿實態調査 ]

isMeasurementOf (측정 방법/수단)

 

a01-08-03 신체(장애/질병) 신체(장애/질병)

비만 [ 肥滿 ]

통합적 비만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아동의 식이 효능감과 식습관 향상이 비만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rovements in eating self-efficacy and habits on the decrease in body mass index (BMI) among overweight children in a multidisciplinary camp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5 | 3 | 2010 | 심리과학

통합적 비만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아동의 식이 효능감과 식습관 향상이 비만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rovements in eating self-efficacy and habits on the decrease in body mass index (BMI) among overweight children in a multidisciplinary camp program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5 | 3 | 2010 | 심리과학

연령과 비만에 따른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의 선호 조사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for the Ready to Wear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4 | 2010 | 의상

연령과 비만에 따른 성인 여성의 기성복 맞음새 정도의 선호 조사

A Study on the Fit Preference for the Ready to Wearby the Age and Obesity Level of Adult Women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2 | 4 | 2010 | 의상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체력육성” 수업 참여가 체력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The Development of Fitness” Class on Physical Fitness and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체육과학연구 | 23 | 3 | 2012 | 체육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지역연구 | 27 | 3 | 2011 | 국제/지역개발

비만도와 체력이 비만 아동의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MI and Physical Ability on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16 | 3 | 2011 | 심리과학

지적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이 비만도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on Obesity Degree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국특수체육학회지 | 19 | 1 | 2011 | 특수/장애인체육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한 도시환경이 지역사회 비만도와 자가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Effects of Built Environmental Factors on Obesity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국토연구 | 68 | 2011 |

한국 대학생의 신체 황금비율과 비만

Golden Ratio and Obesit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수학교육 논문집 | 24 | 4 | 2010 | 수학교육학

한국 대학생의 신체 황금비율과 비만

Golden Ratio and Obesity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수학교육 논문집 | 24 | 4 | 2010 | 수학교육학

청소년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Obesity to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Secondary School Boys and Girls a Study o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4 | 1 | 2012 | 체육측정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