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영역

연구분야 : B140100 사회과학 > 행정학 > 행정학일반

클래스 : 관념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7208

한자 : 公共領域
영어 : the public sphere

e04-02 관념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공 질서 [ 公共秩序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성찰적 근대성 [ 省察的近代性 ]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아렌트(H. Arendt)의 연방 평의회 체제와 한국 민주주의

The System of Federal Council in Arendt and the Question of Democracy in Korea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스릴러 영화의 남성 중심적 서사에 대한 비평적 접근 : <아저씨>와 <악마를 보았다>를 중심으로

A Critical Approach to Thriller Films as Male-centric Narratives : Focusing on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22 | 2011 | 예술일반

마키아벨리와 ‘근대성’의 문제-그의 『군주론』을 중심으로

Machiavelli and the problem of 'Modernity' with regard to his The Princ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자유부인』 에 나타난 의복의 정치학

Politics of clothing in 『Free mada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유부인』 에 나타난 의복의 정치학

Politics of clothing in 『Free mada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21세기 한국 여성 리더십에 있어서의 유교와 기독교(Ⅱ)

Confucian and Christian Character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Woman Leadership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21세기 한국 여성 리더십에 있어서의 유교와 기독교(Ⅱ)

Confucian and Christian Character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Woman Leadership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다문화 시대의 사회 계층 구조 변화

Transformation de la structure des classes sociales dans l'époque multiculturelle

다문화콘텐츠연구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문화 시대의 사회 계층 구조 변화

Transformation de la structure des classes sociales dans l'époque multiculturelle

다문화콘텐츠연구 | 4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21세기 한국 여성 리더십에 있어서의 유교와 기독교(I)

Confucian and Christian Character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Woman Leadership(1)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21세기 한국 여성 리더십에 있어서의 유교와 기독교(I)

Confucian and Christian Characters in the 21st century's Korean Woman Leadership(1)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오규 소라이와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언어론과 정치론: 옛(古) 이상세계에서의 공공성과 좋은 삶

Linguistics and Politics of Ogyu Sorai and Motoori Norinaga: Publicness and Good Life in the Ancient Utopia

정치사상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말하기 활성화를 통한 도시발전: 아렌트의 논의와 사례의 시사점

A Search for the Progress of a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Speaking: An Interpretation of Several Cases on the Basis of H. Arendt's Argument

국가전략 | 16 | 3 | 2010 | 정치외교학

말하기 활성화를 통한 도시발전: 아렌트의 논의와 사례의 시사점

A Search for the Progress of a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Speaking: An Interpretation of Several Cases on the Basis of H. Arendt's Argument

국가전략 | 16 | 3 | 2010 | 정치외교학

남미지역 칠레와 브라질의 공공영역에서 정치부패 원인과 정치개혁 비교 고찰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uses of Political Corruption and Political Reforms between Chile and Brazil

한국부패학회보 | 16 | 1 | 2011 | 행정학

한나 아렌트에게 묻는다 : 당신은 누구나/지금도 ‘행위’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가?

We Ask Arendt : Do you believe anyone can still take an action?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포스트민주주의와 시민적 리터러시

Post-democracy and Civic Literacy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사회주의 도시와 사적 영역

The Socialist City and the Private Sphere

중소연구 | 36 | 2 | 2012 | 사회과학

시민사회의 특성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

The Characteristic of Civil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Civil education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시민사회의 특성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

The Characteristic of Civil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Civil education

사회과교육연구 | 17 | 4 | 2010 | 사회교육학

신자유주의 시대 공영방송의 위기와 공공영역의 변화

The Public Television Crisis and the Mutation of the Public Sphere in Neo-liberalism

한국언론정보학보 | 57 | 1 | 2012 | 신문방송학

공공 영역과 '시민됨'의 문화적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and 'Citizenship'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공공 영역과 '시민됨'의 문화적 조건

Cultural Conditions of Public Space and 'Citizenship'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영국에서의 공공영역-자원단체와 도덕개혁

The Public Sphere in Modern Brita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Moral Reform

서양사론 | 110 | 2011 | 역사학

동북아 시민사회 정립을 위한 주자학적 公論 탐색 - 하버마스의 ‘공공영역’에서 접근 -

Northeast Asian Civil Society and the Neo-Confucian Public Opinion - An Approach from the Habermas’ Public Sphere -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동북아 시민사회 정립을 위한 주자학적 公論 탐색 - 하버마스의 ‘공공영역’에서 접근 -

Northeast Asian Civil Society and the Neo-Confucian Public Opinion - An Approach from the Habermas’ Public Sphere -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