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 칠정 논쟁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02

한자 : 四端七情論爭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皇道儒學 ― 李滉, 高橋亨, 朴鍾鴻의 朱子性理學과 중앙집권·국가주의 비판

Takahashi Toohru's Imperial Confucianism ― A critique on Zhu Xi's Neo-Confucianism, centralism and nationalism by Yi Hwang, Takahashi Toohru and Park Jong-hong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퇴계 호발설의 ‘七情氣發’에 대한 고봉의 비판과 수용

Kobong Ki Dae-sung’s Critics on Toegye's Theory of Moral Emotions and Feelings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사단칠정론과 모종삼

The Four-Seven Debate and Mou Zongsan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退溪와 高峯의 四七論辨을 통해본 讀書法 論爭

An Argument on Method of Reading by Way of Sachilnonbyeon between Toegye and Gobong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와 高峯의 四七論辨을 통해본 讀書法 論爭

An Argument on Method of Reading by Way of Sachilnonbyeon between Toegye and Gobong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이황과 기대승의 사칠논변에 대한 분석적 검토 - ‘소취이언(所就以言)’과 ‘소종래(所從來)’의 함의를 중심으로 -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