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在釜日本人社會에서의 ‘神社化’와 그 의미 -대마도민의 사당(祠)에서 일본인의 神社로의 변화, 참여 주체 및 제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Shinto-shrinization and meaning of Japanese-society in Busan
일어일문학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Man and Society in Zhu Xi’s Family Ritual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일본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과정 ― 하야시 가호[林鵞峰] 『읍혈여적』‧『제전사의』를 중심으로
日本における『家礼』の受容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고대 중국 건축의 8각 요소 검토 -고구려 8각 불탑의 조망을 위하여-
A Study on Octagonal Angled Elements of the Ancient Chinese Architecture-For the view of Gogurye's octagonal angled pagodas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儒敎와 喪禮의 宗敎性에 關한 硏究 - 『家禮輯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igiousness of Confucianism and Funeral Rites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세종의 불교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Acceptance of Buddhism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주자가례』와 회덕당 『상제사설』
『朱子家禮』と懐徳堂『喪祭私説』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유교식 감실(龕室)의 수용과 변용
The Acceptance and Transition of Confucian Gamsil in Joseon period
문화재 |
44 |
4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