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보호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관계/상호작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264

한자 : 私生活保護
영어 : Privacy

X03 관계/상호작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私生活--秘密--自由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프라이버시권 [ --權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개인정보 보호 () [ 個人情報保護 ]

RT (관련어)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개인정보 () [ 個人情報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2차 피해 [ 二次 被害 ]

민간조사제도의 도입과 업무범위 설정

Establishing the Work Scope of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한국경찰연구 | 11 | 1 | 2012 | 사회과학

공적 인물의 인격권과 언론의 자유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법원의 캐롤라인 결정을 중심으로 ―

Persönlichkeitsschutz der Prominenter und Pressefreiheit - in bezug auf die Caroline-Entscheidung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und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für Menschenrechte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공적 인물의 인격권과 언론의 자유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법원의 캐롤라인 결정을 중심으로 ―

Persönlichkeitsschutz der Prominenter und Pressefreiheit - in bezug auf die Caroline-Entscheidung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und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für Menschenrechte

공법연구 | 39 | 1 | 2010 | 법학

주거침입죄의 제한적 해석을 위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unlawful Entry into dwelling-House

고려법학 | 61 | 2011 | 법학

개인정보 및 사생활보호를 위한 민간조사원 조사권의 한계 설정

Establishing the Limits of Private Investigator’s Right to Investigate f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ndividual Privacy

경찰학연구 | 12 | 1 | 2012 | 법학

민간조사제도의 도입과 업무범위 설정

Establishing the Work Scope of Private Investigation System

한국경찰연구 | 11 | 1 | 2012 | 사회과학

직장 내 전자우편 모니터링 규제의 신조류와 시사점

E-mail Monitoring in the Workplace: Lessons from the Recent Legal Developments in the US and Europe

법조 | 59 | 6 | 2010 | 법학

직장 내 전자우편 모니터링 규제의 신조류와 시사점

E-mail Monitoring in the Workplace: Lessons from the Recent Legal Developments in the US and Europe

법조 | 59 | 6 | 2010 | 법학

프랑스에서의 인격권

Droits de la Personnalité en Droit Français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프랑스에서의 인격권

Droits de la Personnalité en Droit Français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사생활 보호에 대한 경각심을 자각시키기 위한 영화치료 사례 연구 -강석범 감독의 <정승필 실종사건>을 중심으로-

Cinema therapy for Awakening a Protection of Private life -Focused on A Missing of Jung Sung-Pil by Gang Suk-Bum-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