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

연구분야 : A041400 인문학 > 종교학 > 인도종교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63

한자 : 捨身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출가 () [ 出家 ]

「送朝天客歸國詩章圖」의 제작 시기와 朝天客 분석

「送朝天客歸國詩章圖」的製作時期和朝天客的分析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戰國時代 邊境의 출입자 관리와 符節

战国时代边境之出入者管理与符节

중국고중세사연구 | 27 | 2012 | 역사학

書評 評介: 趙冬梅『文武之間: 北宋武選官研究』(北京大學出版社, 2010年, 402頁)

Book Review

중국사연구 | 74 | 2011 | 동양사

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

The Receptionand Management of Envoys from Tan China during the Mid-S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The Postal-relay System of yam in West Asia under the Mongol Rule and the Reform of Ghazan Khan

역사문화연구 | 35 | 2010 | 역사학

몽골支配期 西아시아의 驛站制와 가잔 칸(Ghazan Khan)의 改革

The Postal-relay System of yam in West Asia under the Mongol Rule and the Reform of Ghazan Khan

역사문화연구 | | 35 | 2010 | 역사학

唐 高宗代 對外 政策의 性格과 意味 -唐使 派遣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Foreign Policy during the Reign of Tang Kao-tsung: Focused on the Dispatch of Tang’s Envoys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唐 前期 鴻臚(少)卿의 對外 活動과 變化 樣相

A Foreign Activities and Changeable Aspects of Hung-lu (shao)ch'ing in the Early Period of Tang

중국사연구 | 79 | 2012 | 동양사

조선후기 體驗과 想像의 日本 -日本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

A Study on Experiences and Japan in Imagination in Late Joseon's Literature - Various viewpoints of Japa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용산참사 현장의 교회: A. 덜레스의 교회 모형에서 본 교회의 자기이해

The Church placing itself in the Yongsan Disaster: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Models of the Church of Avery Dulles

신학과철학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용산참사 현장의 교회: A. 덜레스의 교회 모형에서 본 교회의 자기이해

The Church placing itself in the Yongsan Disaster: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Church in the light of Models of the Church of Avery Dulles

신학과철학 | | 17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使行詩의 특징과 전개 양상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atterns of Envoy Poetry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使行詩의 특징과 전개 양상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atterns of Envoy Poetry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

The Moving Route and the Process of Goryeo(高麗) Envoys Dispatched to the Jin Dynasty(金)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