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 상담

연구분야 : A051100 인문학 > 기독교신학 > 목회상담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030

한자 : 牧會相談
영어 : pastoral counseling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목회 상담학 [ 牧會相談學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관련 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목회적 돌봄 [ 牧會的-- ]

수치심, 상담의 방해물인가, 도우미인가?

Shame, Is It a Hindrance or a Guide in Counseling?: Pastoral Theological Lessons for Pastoral Counselors

목회와상담 | 15 | 2010 | 목회상담학

수치심, 상담의 방해물인가, 도우미인가?

Shame, Is It a Hindrance or a Guide in Counseling?: Pastoral Theological Lessons for Pastoral Counselors

목회와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멜라니 클라인의 시기심과 감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A Study of Melanie Klein's Envy and Gratitude from a Pastoral Counseling Prospective

목회와상담 | 17 | 2011 | 목회상담학

청소년의 성문제와 목회상담

Adolescents' Sexuality Problems and Pastoral Counseling

복음과 상담 | 14 | 2010 | 목회상담학

청소년의 성문제와 목회상담

Adolescents' Sexuality Problems and Pastoral Counseling

복음과 상담 | 14 | | 2010 | 목회상담학

상실의 관점에서 읽는 욥기-목회상담적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0 | 2010 | 기독교신학

상실의 관점에서 읽는 욥기-목회상담적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0 | 2010 | 기독교신학

욥(Job)의 상실(loss)에 대한 목회상담적 소고

A Study of Pastoral Counseling on Loss of Job

신학논단 | 63 | 2011 | 기타기독교신학

국제결혼 가족을 위한 다문화적 목회상담의 돌봄의 모델: 상호문화적 현상학적 목회상담

The Multicultural Pastoral Counseling Model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신학사상 | 154 | 2011 | 기독교신학

한국사회 스트레스 문제에 대한 선교학적 접근

Missiological Approach for the Problems of Stress in Korean Society

선교신학 | 30 | 30 | 2012 | 기독교신학

다문화 사회에서 목회상담의 방향성

A New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회와상담 | 16 | 2011 | 목회상담학

이야기치료에서 마이클 화이트의 생애와 유산: 기독교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fe and legacies of Michael White in narrative therapy: The christian perspective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3 | 2 | 2012 | 목회상담학

한국 목회돌봄과 목회상담의 역사와 과제

A History and Tasks of Pastoral Care and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목회와상담 | 17 | 2011 | 목회상담학

대상관계이론의 목회상담 적용에 관한 소고 -대상관계이론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Study on Application of Pastoral Counseling of Object Relations Theory - Focusing on the Core Concept of Object Relations Theory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0 | 2010 | 목회상담학

대상관계이론의 목회상담 적용에 관한 소고 -대상관계이론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Study on Application of Pastoral Counseling of Object Relations Theory - Focusing on the Core Concept of Object Relations Theory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0 | | 2010 | 목회상담학

인지치료와 담화이론의 만남: - 우울한 여성을 위한 목회상담 -

An encounter of cognitive counseling and the discourse theory: Pastoral counseling for depressed women

신학과 실천 | 26 | 2011 | 기독교신학

부재하지만 암시적인: 이야기 치료를 통한 이야기의 반전

The Absent but Implicit: The Story’s Reversal through Narrative Therapy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1 | 2011 | 목회상담학

목회상담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A Survey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The Present and the Prospect

목회와상담 | 17 | 2011 | 목회상담학

한국 장로교 100년: 목회상담의 회고와 전망

The Centennial of Korean Presbyterian: Retrospect and Prospect of Pastoral Counseling

장신논단 | 44 | 2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Biblical Counselling: An Organic and “Sacramental” Approach to the Use of Scripture in Care Giving

성경상담: 돌봄에서 성경사용을 위한 유기적 그리고 “성례전적” 접근

성경과 신학 | 61 | 2012 | 기독교신학

목회상담의 위기적 상황과 정신치료 -현대 심층심리학적 정신치료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The Critical Situation of Pastoral Counseling and the Psychotherapy

목회와상담 | 16 | 2011 | 목회상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