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축제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B081500 사회과학 > 사회학 > 문화/종교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331

STNet ID : 1002185

한자 : --祝祭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지역 정체성 [ 地域正體性 ]

hasPurpose (목적)

 

b02-02 강화(증가/확장/신장) 강화(증가/확장/신장)

지역 경제 활성화 [ 地役經濟 活性化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축제 () [ 祝祭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마을사 [ --史 ]

축제집단에 따른 축제성의 발현양상 -아산시 송악면 마을축제를 중심으로-

The Manifestation of Festivity Depending on Festival Leading Groups

실천민속학 연구 | 17 | 2011 | 역사학

원주 매지농악을 통해 본 마을농악의 전승방식

The Transmission way of the Wonju Maeji nongak as a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ed by farmers in village

비교민속학 | 48 | 2012 | 역사학

한․일 마을제의(祭儀)의 축제적 성격 비교 고찰-은산 별신제(恩山別神祭)와 강온지 쵸사마쓰리(觀音寺祭)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Festival Character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unsan-Byeolsinje of Korea and the Kanonji Chousa- Matsuri of Japan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한․일 마을제의(祭儀)의 축제적 성격 비교 고찰-은산 별신제(恩山別神祭)와 강온지 쵸사마쓰리(觀音寺祭)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Festival Character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unsan-Byeolsinje of Korea and the Kanonji Chousa- Matsuri of Japan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축제집단에 따른 축제성의 발현양상 -아산시 송악면 마을축제를 중심으로-

The Manifestation of Festivity Depending on Festival Leading Groups

실천민속학 연구 | 17 | 2011 | 역사학

농어촌 마을축제의 진단과 활성화 방안 -삼척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Diagnosi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Festival & its Revitalization Plan :Centering on the case of Samcheok District

실천민속학 연구 | 17 | 2011 | 역사학

마을의 잔치문화에 갈무리된 축제성과 인간해방의 길

Detection of Festiveness of Party Culture Inherent in Village Festival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