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연구분야 : B080000 사회과학 > 사회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87

STNet ID : 9003055

한자 : 社會學
영어 : sociolog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 과학 () [ 社會科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정치 사회학 [ 政治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고전 사회학 [ 古典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환경 사회학 [ 環境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도덕 사회학 [ 道德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교 사회학 [ 比較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역사 사회학 () [ 歷史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 [ --主義文化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급진사회학 [ 急進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미래학 [ 未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역사회학 () [ 地域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과정 사회학 () [ 敎育課程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비판 사회학 [ 批判 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노인 사회학 [ 老人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거시 사회학 [ 巨視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공공 사회학 [ 公共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구 사회학 [ 人口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발전 사회학 [ 發展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감정 사회학 [ 感情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노동 사회학 [ 勞動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성 사회학 [ 性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사회학 [ 韓國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산업 사회학 [ 産業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법 사회학 [ 法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음악 사회학 [ 音樂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조직 사회학 [ 組織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 공학 [ 社會工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예술 사회학 [ 藝術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어사회학 () [ 言語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경제 사회학 [ 經濟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주류 사회학 [ 主類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스포츠 사회학 [ --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매스컴 사회학 [ --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사회 심리학 [ 社會心理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화 사회학 () [ 文化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전쟁 사회학 [ 戰爭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언론 사회학 [ 言論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과학 기술 사회학 [ 科學技術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고현학 () [ 考現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종교 사회학 [ 宗敎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교육 사회학 [ 敎育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범죄 사회학 [ 犯罪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정보 사회학 [ 情報社會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사회학 [ 文學社會學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갈등론 [ 葛藤論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생애사 연구 () [ 生涯史硏究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방법론적 개인주의 () [ 方法論的個人主義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학 연구 방법론 [ 社會學硏究方法論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네트워크 이론 () [ --理論 ]

일제하~해방후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체계 정립과 ‘민주주의’론

Han Chi-jin’s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ystem after the occupation and liberation, and his argument for Democracy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일제하~해방후 한치진(韓稚振)의 학문체계 정립과 ‘민주주의’론

Han Chi-jin’s establishment of an academic system after the occupation and liberation, and his argument for Democracy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경영전략연구의 과거와 현재: 주요 접근법을 중심으로

Past and Present of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Four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4 | 1 | 2010 | 경영학

경영전략연구의 과거와 현재: 주요 접근법을 중심으로

Past and Present of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Four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 34 | 1 | 2010 | 경영학

연극의 사회학적 양상 연구

Consideration of a Play as a Social Phenomenon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사회학적 관점에서의 범죄학

Criminology as a Sociological Perspective

한국범죄학 | 6 | 1 | 2012 | 경찰행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상의 ‘사회’ 교과서간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ociology-related Unit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7th Grade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 분석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상의 ‘사회’ 교과서간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ociology-related Unit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7th Grade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extbook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한국 ‘사회학(과)’에서 ‘여성학하기'란? - 페미니스트 학문 후속세대의 경험을 중심으로

‘Doing' Feminism in Sociology? - Discipline Effects, Contested Identities, and Feminist Legacies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한국 ‘사회학(과)’에서 ‘여성학하기'란? - 페미니스트 학문 후속세대의 경험을 중심으로

‘Doing' Feminism in Sociology? - Discipline Effects, Contested Identities, and Feminist Legacies

한국사회학 | 44 | 5 | 2010 | 사회학

이원론에 기초한 사회학 벗어나기: ‘사회적인 것’의 종말?

Beyond the Sociology based on Dualism: the End of 'the Social'?

사회과학연구 | 24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