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브리엘 드 타르드의 『모방의 법칙들 Les Lois de l'imitation』에 나타난 심리사회학의 특성
La sociologie psychologique dans Les lois de l'imitation de Gabriel de Tarde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29 |
2010 |
철학
奇正鎭과 田愚의 성리학적 쟁점과 鄭載圭의 성리설
Neo-Confucianism of Jeong Jae Gyu focused on Li-supervisor
南冥學硏究 |
|
29 |
2010 |
철학
빅토리아시대의 의복에 나타난 여성정체성:『데이지 밀러』(Daisy Miller)와『여인의 초상』(The Portrait of A Lady)을 중심으로
Victorian Women's Dress and Female Identity in Daisy Miller and The Portrait of a Lady
영미어문학 |
101 |
2011 |
영어와문학
조선후기 도시의 발달과 여성의 소비문화에 대한 담론의 성격
The Growth of Cities and the Characters of Discourses about Women's Consumption Culture in late Chosu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비베카난다의 붓다관에 대한 비평 : 遊行(sannyāsa)과 出家(pabbajjā)를 중심으로
Criticism on Vivekananda's view of Buddha Focused on Sannyāsa and Pabbajjā
인도철학 |
29 |
2010 |
철학
여헌철학의 역학적 근거 - 易의 二義와 관련하여
Yeohon(旅軒)'s theory based on the study of Iching(易學)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21세기 韓國書藝, 流派 形成의 必要性과 哲學的 指向點 試論
21C Korean calligraphy, A study on Essence and Philosophical orient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calligraphy school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21세기 韓國書藝, 流派 形成의 必要性과 哲學的 指向點 試論
21C Korean calligraphy, A study on Essence and Philosophical orientation on The formation of the calligraphy school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1920년대 일본 신여성의 서양복 수용 고찰
Exploration on the Reception of Western Clothing by Modern Japanese Women in the 1920s
일본근대학연구 |
35 |
2012 |
일본문화학
근대 관광잡지 『관광조선』의 대중을 향한 메시지
Modern tourist journal 『Tourism of Chosun』's messages for the masses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篆刻의 對待⋅流行的 형상에 관한 미학적 연구
关于篆刻的对待及流行的美学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篆刻의 對待⋅流行的 형상에 관한 미학적 연구
关于篆刻的对待及流行的美学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양신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 중세~근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Western Shoes - from Medieval Times to Modern Times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13 |
1 |
2011 |
의상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A Study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Concept of Fashion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유행개념으로 바라본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A Study on the Modernity in the Colonial Period of Joseon through the Concept of Fashion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