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연구분야 : F020200 농수해양 > 임학 > 산림생태/휴양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07

한자 : 山林
영어 : forest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개발유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시업림 [ 施業林 ]

hasKind (종류)

개발유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원시림 [ 原始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시험림 [ 試驗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방제림 [ 防除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신탄림 [ 薪炭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연료림 [ 燃料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용재림 [ 用材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보호림 [ 保護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보안림 [ 保安林 ]

hasKind (종류)

경영목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풍치림 [ 風致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유극림 [ 有棘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건조림 [ 乾燥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하록수림 [ 夏綠樹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열대림 [ 熱帶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우록수림 [ 雨綠樹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한대림 [ 寒帶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온대림 [ 溫帶林 ]

hasKind (종류)

기후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아열대림 [ 亞熱帶林 ]

hasKind (종류)

산림크기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왜림 [ 矮林 ]

hasKind (종류)

산림크기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중림 [ 中林 ]

hasKind (종류)

산림크기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교림 [ 喬林 ]

hasKind (종류)

성립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인공림 [ 人工林 ]

hasKind (종류)

성립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천연림 [ 天然林 ]

hasKind (종류)

수종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단순림 [ 單純林 ]

hasKind (종류)

수종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잡목림 [ 雜木林 ]

hasKind (종류)

수종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혼효림 [ 混淆林 ]

hasKind (종류)

임관구성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연속층림 [ 連續層林 ]

hasKind (종류)

임관구성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복층림 [ 複層林 ]

hasKind (종류)

임관구성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단층림 [ 單層林 ]

hasKind (종류)

임목성숙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과숙림 [ 過熟林 ]

hasKind (종류)

임목성숙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미숙림 [ 未熟林 ]

hasKind (종류)

임목성숙상태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성숙림 [ 成熟林 ]

hasKind (종류)

임목연령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유령림 [ 幼齡林 ]

hasKind (종류)

임목연령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이령림 [ 異齡林 ]

hasKind (종류)

임목연령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장령림 [ 壯齡林 ]

hasKind (종류)

임목연령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동령림 [ 同齡林 ]

hasKind (종류)

임목연령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노령림 [ 老齡林 ]

hasKind (종류)

임목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활엽수림 [ 闊葉樹林 ]

hasKind (종류)

임목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침엽수림 [ 針葉樹林 ]

hasKind (종류)

임목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경엽수림 [ 硬葉樹林 ]

hasKind (종류)

임목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조엽수림 [ 照葉樹林 ]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국유림 [ 國有林 ]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면유림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군유림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도유림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사유림 [ 私有林 ]

hasKind (종류)

토지소유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공유림 [ 公有林 ]

hasKind (종류)

토지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구릉림 [ 丘陵林 ]

hasKind (종류)

토지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평지림 [ 平地林 ]

hasKind (종류)

토지조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산악림 [ 山岳林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3-02 식물 식물

목본 식물 [ 木本植物 ]

hasComponent (구성요소)

 

 

임지 [ 任地 ]

R1:개념적

RT (관련어)

 

 

산림 육종 [ 山林育種 ]

RT (관련어)

 

 

산림 조림 [ 山林造林 ]

RT (관련어)

 

 

RT (관련어)

 

 

산림 유전 [ 山林遺傳 ]

RT (관련어)

 

 

임형 [ 林型 ]

RT (관련어)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산림 통계 [ 山林統計 ]

RT (관련어)

 

 

산림 토목 [ 山林土木 ]

RT (관련어)

 

 

산림 측정 [ 山林測定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산림 정책 [ 山林政策 ]

RT (관련어)

 

 

산림 생체량 [ 山林生體量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산림 경제 [ 山林經濟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산림 훼손 [ 山林 毁損 ]

RT (관련어)

 

a03-02 식물 식물

도시림 [ 都市林 ]

RT (관련어)

 

 

산림 기계 [ 山林機械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산림 휴양 [ 山林休養 ]

RT (관련어)

적용/적용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산림 보호 [ 山林保護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임산물 [ 林産物 ]

evaluates (평가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산림 평가 [ 山林評價 ]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임분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산림 채벌권 [ 山林採伐權 ]

17세기 王妃 家門의 變遷과 性格

Tracing the Lineage of 17thCenturyQueens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조선후기 孝宗代 政治論과 정국 동향 -是非明辨論을 중심으로-

The King Hyojong Era’s political theories and shifts in politic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Based on a distinction theory between right and wrong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孝宗代 政治論과 정국 동향 -是非明辨論을 중심으로-

The King Hyojong Era’s political theories and shifts in politic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Based on a distinction theory between right and wrong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환경의 ‘정치적 상징’ -일본 유스하라정의 FSC 산림인증을 중심으로

The Political symbols of Environment : The Case of FSC forest certification of Yusuhara-cho in Japan

ECO | 14 | 2 | 2010 | 환경사회학

환경의 ‘정치적 상징’ -일본 유스하라정의 FSC 산림인증을 중심으로

The Political symbols of Environment : The Case of FSC forest certification of Yusuhara-cho in Japan

ECO | 14 | 2 | 2010 | 환경사회학

산림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REDD+ 사업 전략 개발

Development of South Korean REDD+ Strategies for Forest Carbon Credits

환경정책 | 20 | 2 | 2012 | 정책학

북한의 산림․임업 교육체계 및 연구현황

Education System of Forest and Forestry and Current State of Study of North Korea

북한학연구 | 7 | 1 | 2011 | 북한

단기간의 산림 명상 및 걷기운동이 혈압, 심박수, 자연살해세포 및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hort-term Meditation and Walking Exercise in a Fores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NK-cell and POMS

운동학 학술지 | 13 | 3 | 2011 | 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