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 민주 주의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260

한자 : 審議民主主義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숙의 민주주의 () [ 熟議民主主義 ]

4대강과 숙의민주주의

Four Rivers and Deliberative Democracy

환경철학 | 12 | 2011 | 과학/자연철학

원내정당모델의 명료화: 대안적 정당모델과의 비교 논의

Clarification of Parliamentary Party Model: Comparison with alternative political party model discussion

의정연구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원내정당모델의 명료화: 대안적 정당모델과의 비교 논의

Clarification of Parliamentary Party Model: Comparison with alternative political party model discussion

의정연구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대화형 정치모델'의 이론적 탐색: 아렌트의 '공공화법'과 바흐친의 '다성악적 대화법'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대화형 정치모델'의 이론적 탐색: 아렌트의 '공공화법'과 바흐친의 '다성악적 대화법'

사회과학연구 | 18 | 2 | 2010 | 정치외교학

시민과 공중 -‘시민적 진보’의 주체에 대한 탐색-

The Citizen and The Public-The Search for the ‘Subject’ of ‘Civic Progress’-

시대와 철학 | 23 | 3 | 2012 | 철학

EU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심의민주주의 요소고찰

A study on the elements of deliberative democracy in the EU's Network Governance

유럽연구 | 29 | 2 | 2011 | 지역학

초국적 제도의 민주적 정당성에 대한 고찰

A Critical Review on Democratic Legitimacy of Transnational Institutions

국가전략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초국적 제도의 민주적 정당성에 대한 고찰

A Critical Review on Democratic Legitimacy of Transnational Institutions

국가전략 | 16 | 2 | 2010 | 정치외교학

심의확대를 통한 행정국가의 행정의 정당성 제고에 관한 소고 -한국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Enhancing Legitimacy of Administrative State by Strengthening Deliberation - Focusing upon the Cases of Korea

한국거버넌스학회보 | 18 | 3 | 2011 | 행정학

공공성, 사회집단, 그리고 심의민주주의

Publicity, Social Groups, and Deliberative Democracy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공공성, 사회집단, 그리고 심의민주주의

Publicity, Social Groups, and Deliberative Democracy

한국정치학회보 | 44 | 2 | 2010 | 정치외교학

촛불집회와 집합지성 ― 토의민주주의적 해석

Candlelight Vigil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촛불집회와 집합지성 ― 토의민주주의적 해석

Candlelight Vigil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마이클 오크숏의 법의 지배 이론과 그 헌정구조적 함의 ―하이에크와의 비교를 포함하여―

Michael Oakeshott's Theory of the Rule of Law and Its Constitutional Implication ―Including a Comparison with Hayek―

법철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입헌주의적 복지권에 대한 미국 헌법학계의 논의 -Sunstein, Michelman, Barber 및 Liu를 중심으로-

Constitutionalism and Welfare Rights: Sunstein, Michelman, Barber, and Liu

사회보장연구 | 26 | 4 | 2010 | 사회복지학

입헌주의적 복지권에 대한 미국 헌법학계의 논의 -Sunstein, Michelman, Barber 및 Liu를 중심으로-

Constitutionalism and Welfare Rights: Sunstein, Michelman, Barber, and Liu

사회보장연구 | 26 | 4 | 2010 | 사회복지학

지방정부와 심의(審議) 민주주의의 실험 ‘타운 홀 미팅’ 사례연구

Local Government and Deliberative Democracy A Case Study of Two “Twenty-First Century Town Hall Meetings”

경제와 사회 | 90 | 2011 | 사회학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An Alternative Democratic Process Ordinary People Really Want in South Korea: Belief in Stealth Democracy

한국에서 일반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대안적 민주주의: 스텔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

비교민주주의연구 | 6 | 2 | 2010 | 정치권력/정치과정

행정민주주의와 공공성: 심의 민주주의와의 접목

Administrative Democracy and the Publicness: A Theoretical Exploration on the Application of Delibereliberative Democracy to Aministrative Democracy

사회과학연구 | 50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와 시민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사회과교육연구 | 17 | 1 | 2010 | 사회교육학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민주주의와 시민교육의 방향

The Direction of Democrac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사회과교육연구 | 17 | 1 | 2010 | 사회교육학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itizens' Participatory Channels: Focus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the Gwangju Bukgu

한국행정학보 | 44 | 3 | 2010 | 행정학

주민참여통로의 효과성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청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itizens' Participatory Channels: Focusing o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the Gwangju Bukgu

한국행정학보 | 44 | 3 | 2010 | 행정학

입법과정의 민주적 정당성 강화에 관한 소고

The study on strengthening democratic legitimacy in the legislative process

법학논집 | 17 | 1 | 2012 | 기타법학

공공갈등과 합의형성 : 심의민주주의 방식의 적용과 한계

Public Conflict and Consensus Building :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s of Deliberative Democracy

한국행정논집 | 23 | 2 | 2011 | 행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의 논리와 한계

The Logic and Limitation of The Deliv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2 | 3 | 2010 | 행정학

심의민주주의적 정책결정을 위한 제도화 방향

The logic and institutionalization for the deliberative policy making

한국행정논집 | 23 | 1 | 2011 | 행정학

토의민주주의와 시민의회:브리티시 컬럼비아 사례를 중심으로

Deliberative Democracy and British Columbia Citizens’ Assembly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토의민주주의와 시민의회:브리티시 컬럼비아 사례를 중심으로

Deliberative Democracy and British Columbia Citizens’ Assembly

시민사회와 NGO | 8 | 2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심의 민주주의의 경험과 분석

Experiences and Analyses of Deliberative Democracy Cases

한국자치행정학보 | 25 | 1 | 2011 | 도시/지방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