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 갈등

연구분야 : B0201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458

한자 : 理念葛藤
영어 : Ideological Conflicts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esultsIn (산물/결과)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양극화 [ 兩極化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정치 이념 [ 政治理念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정책 성향 [ 政策 性向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갈등 분석 () [ 葛藤分析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이념 투쟁 () [ 理念鬪爭 ]

제주도 본풀이의 원시․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징과 변모

The characteristic and transformation of Jeju Myth in primitive and ancient and the middle Age

탐라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언론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유형 Q연구

A Q-Methodological Study of Koreans’ Attitudes Toward Journalism in Korea

주관성 연구 | 21 | 2010 | 기타사회과학

한국 언론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유형 Q연구

A Q-Methodological Study of Koreans’ Attitudes Toward Journalism in Korea

주관성 연구 | | 21 | 2010 | 기타사회과학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The Korean War and Women: those who stood on the margi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과 여성-경계에 선 여성들

The Korean War and Women: those who stood on the margi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Formation of Political Cleavage in South Korea: Application of the Lipset-Rokkan Model

한국과 국제정치 | 27 | 3 | 2011 | 정치외교학

무(無)보도 현상과 언론윤리 그리고 한국사회의 이념갈등 : 국정원, 기무사 민간사찰 관련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Non-Reporting, Media Ethics and Ideological Conflicts in South Korea: Focus on Media Coverage Relating to Surveillance of Civilians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the Defense Security Command

한국언론정보학보 | 53 | 1 | 2011 | 신문방송학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 Power, Ideological and Cultural Conflicts

한국인구학 | 33 | 3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 Power, Ideological and Cultural Conflicts

한국인구학 | 33 | 3 | 2010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한국사회 이념측정의 재구성

A Reconstruction of Ideology Measurement in S. Korea.

의정연구 | 17 | 3 | 2011 | 정치외교학

한국의 보수와 진보의 대북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ological Debates over North Korea with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in South Korea

한국정치학회보 | 46 | 1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