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E020300 의약학 > 해부학 > 조직학

클래스 : 신체(부분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60

한자 :

a01-08-01 신체(부분체)

신체기관

피부기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8-01 신체(부분체) 신체(부분체)

신체 () [ 身體 ]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라깡의 응시에 비추어 본 메를로-퐁티의 가시적인 것의 깊이

La profondeur dans le Visible chez Merleau-Ponty et le regard chez Lacan

현대정신분석 | 12 | 1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34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명윤리 영역 비판과 현상학적 재구성: Merleau-Ponty 몸의 현상학을 토대로

The Criticism and Phenomenological Reconstruction for the Bioethic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 on the Foundation of the Phenomenology of body in Merleau-Ponty

초등도덕교육 | | 34 | 2010 | 윤리교육학

‘공동체(communauté)’ 연구에서 앞서 놓아야 할 물음으로서 ‘같아지기(identification)’ 개념과 그 철학 바탕 -프로이트(S. Freud)와 앙리(M. Henry)의 생각을 중심으로-

En tant que question qu’il faudrait poser par avance dans l’étude de la communauté CONCEPT D’IDENTIFICATION ET SON FONDEMENT PHILOSOPHIQUE: Autour de la pensée de S. Freud et de celle de M. Henry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L'Être de l'objet technique : la recherche préparatoire pour l'ontologie de l'image digitale

미학예술학연구 | 32 | 2010 | 기타예술체육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L'Être de l'objet technique : la recherche préparatoire pour l'ontologie de l'image digitale

미학예술학연구 | 32 | | 2010 | 기타예술체육

프랜시스 베이컨의 <십자가책형을 위한 세 개의 습작> 연구 : 메를로-퐁티 이론을 중심으로

Recherche sur de Francis Bacon : à la lumière de la théorie de Merleau-Ponty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La tension esthétique de la visibilité et de l'invisibilité dans la corporalité de Merleau-Ponty ; à travers de l'analyse des images cinématographiques

메를로 퐁티의 신체성으로 바라본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미학적 긴장 ; 영화이미지들의 분석을 경유하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5 | 2011 | 프랑스문화학

상처의 발견술

Discovering Technique of the Trauma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상처의 발견술

Discovering Technique of the Trauma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회화 속 미적 진리에 대한 융합․통일․차이의 분석 -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적, 살존재론적 회화론을 토대로 -

L’analyse de la vérité de la beauté dans la peinture par fusion․unification․différence - par la théorie de la peinture phénoménologique, chair-ontologique de Merleau-Ponty -

철학논총 | 63 | 1 | 2011 | 철학

中世 中國 生死觀의 一面과 道敎 ― 殃禍의 觀念을 중심으로 ―

Popular Conception of Death and the Netherworld in early Medieval China : in relation to the growth of Daoism

중국고중세사연구 | 25 | 2011 | 역사학

中世 中國 生死觀의 一面과 道敎 ― 殃禍의 觀念을 중심으로 ―

Popular Conception of Death and the Netherworld in early Medieval China : in relation to the growth of Daoism

중국고중세사연구 | 25 | 2011 | 역사학

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를 통한 인격적 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체현과 정서의 철학을 중심으로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Focused on the Philosophy of Embodiment and Emotion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살의 윤리

Ethics in the Flesh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26 | 2010 | 철학

종교와 몸: 슐라이어마허의 ‘살/몸’ 존재론에 관하여

Religion and the Body: On Schleiermacher's Ontology of the Flesh/Body

해석학연구 | | 26 | 2010 | 철학

앙리의 몸 철학과 후기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과 키아슴

The Philosophie du corps chez Henry et le concept de chair et le chiasme du dernier Merleau-Ponty

철학∙사상∙문화 | 1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