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별초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98

한자 : 三別抄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삼별초의 항쟁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후기 거제 지역사회의 변동과 巨濟縣의 이동

The change of Geoje Community and the movement of GeojeHyeon(巨濟縣) in the late Coryeo Dynasty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金俊政權의 條件附 對蒙講和 체결과 그 歷史的 性格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Conclusion of a Conditional Peace Negotiations with Mongol in the Kim Jun’s Rule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민족적 연대감에 의한 여행상품 개발 모색 -일본 오키나와의 삼별초와 홍길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vel Service Products based on the feeling of ethnic solidarity for Koreans -Focused on the Sambyeolcho and Hong-gildong related sights of Okinawa, Japa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

유구왕국(琉球王國)의 일월물결도 연구 - 사회과교육의 국제화 시각에서 -

An International Social Studies Research on the Ilwolmulgyuldo in the Yugu Kingdom of Japan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유구왕국(琉球王國)의 일월물결도 연구 - 사회과교육의 국제화 시각에서 -

An International Social Studies Research on the Ilwolmulgyuldo in the Yugu Kingdom of Japan

사회과교육 | 49 | 2 | 2010 | 교육학

하타다 다카시가 본 제주도

Takashi Hatada and “Genko”

탐라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Goryeo Sambyeolcho’s Resistance and Jindo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