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 지역

연구분야 : B020600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지역정치
B031002 사회과학 > 경제학 > 권역경제 > 지역경제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1430

한자 : 居住地域
영어 : occupied area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코리아 타운 [Korea town]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환경 불평등 () [ 環境不平等 ]

hasIssue (이슈/주제)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거주 지역 차이 [ 居住地域差異 ]

hasPhenomenon (현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거주지 이동 [ 居住地移動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역세권 [ 驛勢圈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도시 근교 [ 都市近郊 ]

거주지역에 따른 유아의 신체건강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의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Basic Life Habits related with the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Residential Regions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

거주지역에 따른 유아의 신체건강과 관련한 기본생활습관의 차이 분석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Basic Life Habits related with the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considering the Residential Regions

열린유아교육연구 | 15 | 3 | 2010 | 교육학

초등학생의 거주지별 학업성적 및 도농간 학업성적의 성별 차이 분석

Academic Achievement by Residential Area and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Achievement of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인문사회과학연구 | 36 | 2012 | 학제간연구

거주지역의 경제적 특성에 따른 대중의 불평등 인식수준과 빈곤관의 차이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rception of Poverty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District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37 | 2011 | 사회복지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