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연구분야 : A101200 인문학 > 문학 > 희곡
G080000 예술체육 > 연극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1578

STNet ID : 1002241

한자 : 金祐鎭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수산 [ 水山 ]

UF (비우선어)

 

 

초성 [ 焦星 ]

R1:개념적

RT (관련어)

 

 

윤심덕

한국 근대극 성립에 미친 「극예술협회」의 영향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he Society of the Drama Art(극예술협회) in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Theatre

국어국문학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극 성립에 미친 「극예술협회」의 영향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he Society of the Drama Art(극예술협회) in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Theatre

국어국문학 | | 1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채만식 희곡「영웅모집」재고(再考)

Reconsideration ChaeMansik's Play「Hero Wanted」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생명력의 리듬’의 형식 —김우진의 <산돼지>

Form of "The rhythm of the Lifeforce" -Kim, Yu-jin's SanDoeji(A wild boar)

반교어문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간극―김우진의 ‘생명력’의 사유와 일본의 생명담론

Gap between the ‘Lifeforce' and Perception of History ―Speculation of ‘Life Force' of Yujin Kim andDiscourses of Vitalism in Japan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상징의 두 양상 - 김우진의 문학의 ‘상징’ 언어에 나타난 ‘전일성’ 사상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1920's symbo - Focusing 'a complete whole character(전일성)' idea in 'symbol' language of U-Jin Kim's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상징의 두 양상 - 김우진의 문학의 ‘상징’ 언어에 나타난 ‘전일성’ 사상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1920's symbo - Focusing 'a complete whole character(전일성)' idea in 'symbol' language of U-Jin Kim's literatur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우진 극작술의 맥락에서 본 「정오」

「Noon」 in the context of Kim woojin's dramaturgy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적 근대극의 창출, 김우진의 근대극론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 Drama, The Modern Drama Theory of Kim Woo-jin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우진 희곡 <정오>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고찰

A Study on Postcolonial Aspect of Kim WooJin's Jeong-oh

한국극예술연구 | 33 | 2011 | 예술체육학

조선적 근대극의 창출, 김우진의 근대극론

The Creation of Korean Modern Drama, The Modern Drama Theory of Kim Woo-jin

어문론총 | 5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