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

연구분야 : B130113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 법해석학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024

한자 : 命令
영어 : order

d02-02 정치/법률제도

대체제도

법률 (法律)

목적_t

행정부의 편리성 도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시행령 [ 施行令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령 [ 法令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法) () [ 法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합헌성 [ 合憲性 ]

N1:종류

hasKind (종류)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개령 (명령) [ 改令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행정 규칙 () [ 行政規則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법규명령 [ 法規命令 ]

hasKind (종류)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훈령 [ 訓令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보명 [ 報命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회 규칙 () [ 國會規則 ]

하버마스의 행위유형론 고찰

Eine Studie über die Handlungstypologie von Habermas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하버마스의 행위유형론 고찰

Eine Studie über die Handlungstypologie von Habermas

시대와 철학 | 21 | 4 | 2010 | 철학

1980년대 북한소설 연구- 『1980년대 단편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rth Korean Novels in the 1980s -Focused on the Short Stories of 1980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人事交流計劃이 결여된 轉出決定(命令)의 效力에 관한 小考

Die Folge von Versetzungsanordung ohne Beamtenaustauschplan

행정판례연구 | 15 | 1 | 2010 | 행정법

人事交流計劃이 결여된 轉出決定(命令)의 效力에 관한 小考

Die Folge von Versetzungsanordung ohne Beamtenaustauschplan

행정판례연구 | 15 | 1 | 2010 | 행정법

人事交流計劃이 결여된 轉出決定(命令)의 效力에 관한 小考

Die Folge von Versetzungsanordung ohne Beamtenaustauschplan

행정판례연구 | 15 | 1 | 2010 | 행정법

人事交流計劃이 결여된 轉出決定(命令)의 效力에 관한 小考

Die Folge von Versetzungsanordung ohne Beamtenaustauschplan

행정판례연구 | 15 | 1 | 2010 | 행정법

블레이크의 『순수와 경험의 노래』와 타자의 윤리

Blake’s Songs of Innocence and Experience and the Ethics of the Other

문학과 종교 | 17 | 2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어 종결표현의 화행 기능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말뭉치 분석과 담화 적절성 인식 조사를 토대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tence ending expressions and their pragmatic function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7 | 2 | 2010 | 언어학

한국어 종결표현의 화행 기능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말뭉치 분석과 담화 적절성 인식 조사를 토대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tence ending expressions and their pragmatic function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7 | 2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