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매체성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기질/품질/형질/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03

한자 : 相互媒體性
영어 : Intermediality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대상자

미디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엑프라시스 [Ekphrasis]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매체 이론 [ 媒體理論 ]

윌리엄 블레이크의 채색시집 『순수와 경험의 노래』에 나타난 상호매체성과 상호텍스트성

Intermediality and Intertextuality in Blake’s Illuminated Book, Songs of Innocence and of Experience

미술이론과 현장 | 12 | 2011 | 미술

다매체 시대의 퍼포먼스 공간의 경험양식과 상호매체성

Mode of Experience & Intermediality of Performance Space in the Multi-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다매체 시대의 퍼포먼스 공간의 경험양식과 상호매체성

Mode of Experience & Intermediality of Performance Space in the Multi-Media Age

기초조형학연구 | 11 | 4 | 2010 | 예술일반

비명’의 고착(固着) - 텍스트와 그림: <넘어진 장님>

Das Festhalten des Schreis - das Bild und seine Verschriftlichung

뷔히너와 현대문학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모더니즘의 탄생. 유겐트슈틸의 회화와 서정시

Die Geburt der Moderne. Malerei und Lyrik des Jugendstils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예술 텍스트의 상호 매체성: "죽은 혼"의 삽화 연구

Inter-mediality between the Texts: a Study on Illustration of Gogol’s “Dead soul”

노어노문학 | 24 | 3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매체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극, 연극성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inter-’의 미학-

Theater und Theatralität aus der Sicht von Medialität -Digitale Zeit und inter-ästhetik-

한국연극학 | 1 | 43 | 2011 | 연극

기억의 상호매체적 구성: 알랭 레네의 <히로시마 내 사랑>과 홍상수의 <하하하>

Intermedial Memory-Construction: Alain Renais' Hiroshima Mon Amour and Sang Soo Hong's Hahaha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Duett von Lyrik und Musik - Intermedialität von Literatur und Musik am Beispiel der Kunstlied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시와 음악의 이중주 - 예술가곡에 나타난 문학과 음악의 상호매체성

Duett von Lyrik und Musik - Intermedialität von Literatur und Musik am Beispiel der Kunstlied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Prolégomène à une sémio-anthropologie de l'écriture - pour le paradigme de l'intermédialité de l'écriture

문자의 기호학적 인류학 서설 - 문자의 상호 매체성 패러다임을 위하여

불어불문학연구 | 8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소설과 미디어콘텐츠의 상호매체성-2000년 이후 한국소설을 중심으로

Intermediality of Novel and Mediacontents -Focused on the Korean novel after 2000

국어문학 | 52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호학적 범주로서의 상호매체성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기호학적 범주로서의 상호매체성

독어독문학 | 51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연극형식과 색채 드라마투르기. 피터 그린어웨이의 바로크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Die Form des Theaters und die Dramaturgie der Farben. Die barocke Postmoderne von Peter Greenaway

카프카 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연극형식과 색채 드라마투르기. 피터 그린어웨이의 바로크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Die Form des Theaters und die Dramaturgie der Farben. Die barocke Postmoderne von Peter Greenaway

카프카 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한국 매체 문화사의 구상

Prolegomena to the Cultural History of Intermediality in Korea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한국 매체 문화사의 구상

Prolegomena to the Cultural History of Intermediality in Korea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