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해방 운동

연구분야 : A020109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여성사(역사학)

클래스 : 역(대립/논쟁/투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120

STNet ID : 9001263

한자 : 女性解放運動
영어 : women`s liberation movement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여성 민중 해방 투쟁 [ 女性民衆解放鬪爭 ]

hasKind (종류)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중국 여성 해방 운동 [ 中國女性解放運動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만동학교 [ 萬東學校 ]

RT_X (관련어►)

관련 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에코 페미니즘 [ecofeminism]

RT_X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상드 [Sand, George]

RT_X (관련어►)

관련 작품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인형의 집 [Et dukkehjem]

나혜석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에서 역할

Na Hyesuk's recognition of reality & her role in a national movement

숭실사학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나혜석의 현실인식과 민족운동에서 역할

Na Hyesuk's recognition of reality & her role in a national movement

숭실사학 | | 24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국 초기 현대시의 신 여성형상

New Female Images in Early Modern Chinese Poetry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