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 AND DEVELOPMENT: THE KOREAN EXPERIENCE
서울대학교 법학 |
52 |
3 |
2011 |
법학
박정희 대통령의 민주주의 담론 분석: “행정적”․“민족적”․“한국적”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ark Chung-hee's Discourses on Democracy: Focusing on his "Administrative," "National" and "Korean-style" Democracy
철학논집 |
27 |
2011 |
철학
윤봉길 의사 현양행사의 정치적 함의와 독립운동 이미지의 원용
The Political Undertones In The Introduction Events Of Yun Bonggil And Invocation Of Korea Independence Movement Imag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Social Control Mechanism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Social Control Mechanism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유신체제의 대중인식과 동원 담론
The Mass Perception and Mobilization Discourse of Yusin Regime in 1970s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정희정권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의 지도자 양성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Leadership Education in the Saemaeul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5 |
2010 |
역사학
박정희정권과 새마을지도자연수원의 지도자 양성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Leadership Education in the Saemaeul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5 |
2010 |
역사학
유신체제의 대중인식과 동원 담론
The Mass Perception and Mobilization Discourse of Yusin Regime in 1970s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凡父 김정설의 ‘政治哲學’과 ‘國民運動’ -『政治哲學特講』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m-Boo Kim, Jeong-Seol's and - Focusing on Lecture on Political Philosophy -
유학연구 |
21 |
2010 |
철학
凡父 김정설의 ‘政治哲學’과 ‘國民運動’ -『政治哲學特講』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m-Boo Kim, Jeong-Seol's and - Focusing on Lecture on Political Philosophy -
유학연구 |
21 |
|
2010 |
철학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The Governing Strategy and Its Technologies of the Dominating Regime in the Era of Park, Jung-Hee: Focusing the Rural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몽골의 새마을운동 수용방식과 성공요인: 경험적 분석
How to Implant the Saemaeul (New Village) Movement and Make it Thriving in the Mongolian Society: An Empirical Analysis
21세기정치학회보 |
22 |
2 |
2012 |
정치외교학
한국의 농업-비농업부문간 자본이동에 관한 연구(1964-2002)
The Inter-sectoral Resource Flow of Korea(1964-2002)
경제발전연구 |
17 |
1 |
2011 |
경제학
자원봉사 참여자 활동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미시 새마을회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농촌 전기공급사업과 새마을운동
New Village Movement (Saemaeul Undong) and Rural Electrifying Project
역사비평 |
97 |
2011 |
역사학
신문사설에 나타난 『새마을운동』정책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Analysing Key Policy Concepts Underlying Saemaul Undong Policy Within Newspaper Editorials: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3 |
2011 |
행정학
구술을 통해본 1970년대 새마을운동: 새마을지도자 ‘만들기’와 ‘되기’ 사이에서
The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seen by Oral Testimonies: In between the Building and Becoming its Leader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신문사설에 나타난 『새마을운동』정책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Analysing Key Policy Concepts Underlying Saemaul Undong Policy Within Newspaper Editorials: Application of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3 |
2011 |
행정학
주민자치의식 개혁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 새마을 운동과 삶의 춤 운동의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Citizenship Reform:Comparing Samaul Movement and Life-Dancing Movement
한국지방자치연구 |
13 |
2 |
2011 |
기타행정학
한국형 평화구축활동 연구
The Korean Way of Peacebuilding:The Application to New Community Movement and its Tasks
평화학연구 |
12 |
1 |
2011 |
정치외교학
새마을운동을 이용한 아시아 국제개발협력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 to Asia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아시아연구 |
14 |
2 |
2011 |
지역학
새마을운동 거버넌스의 중국적 적용
New Village Movement of governance apply china society
한국사회 |
11 |
2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새마을운동 거버넌스의 중국적 적용
New Village Movement of governance apply china society
한국사회 |
11 |
2 |
2010 |
사회변동/발전사회학
신문 사설의 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through the News Frame Analysis of the Newspaper Editorials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1 |
2012 |
행정학
새마을운동을 통한 한국형 국제개발협력 모델 모색
A Research into a Korean-type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Model through Saemaul Movement
대한정치학회보 |
19 |
3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1970년대 한국노총의 공장새마을운동 전개양상과 특징
A Study on the Development Phase and Characteristics of Factory Saemaeul Movement Performed by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in 1970s.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1970년대 한국노총의 공장새마을운동 전개양상과 특징
A Study on the Development Phase and Characteristics of Factory Saemaeul Movement Performed by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in 1970s.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근대적 시간관념과 이윤개념의 내면화: 새마을부녀지도자의 노동활동 경험을 중심으로
Internalizing the Concept of Time and Profit in Modern Capitalism: A Study on Work Experiences of Female Farmers in the New Village Movemen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A Search for the Direction of Saemaul Undong in Gyeongsangbuk-do: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Saemaul Undong Project Based on a DHP Analysis Targeting Experts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정책방향 모색: 전문가 대상 DHP 분석에 기반한 새마을운동사업의 우선순위 평가
지역발전연구 |
20 |
2 |
2011 |
지역비교/통계
새마을운동의 국제개발협력사업화 현황 분석과 대안적 접근 모색: 권리에 기반한 접근 (RBA)과의 접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Saemaul Undong in a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ing on the Possibilities of Incorporating RBA into Saemaul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3 |
2011 |
정치외교학
교육계몽 운동으로서 새마을운동의 특성과 의의
The Traits of Saemaul Movement as Educational Enlightenment Movement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 지도자들의 경험세계: 남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Life World of Village Leaders during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Focusing on Male Leader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8 |
2010 |
사회학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서 마을 지도자들의 경험세계: 남성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Life World of Village Leaders during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Focusing on Male Leader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8 |
2010 |
사회학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발전주의 복지정치:박정희 정권의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Social Planning of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and the Politics of Legitimation: A Critique of the Saemaul Movement under the Park Chung-Hee Regime
사회복지정책 |
38 |
3 |
2011 |
사회복지학
동원과 참여 사이에서: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 과정에서의 지방공무원의 역할
Betwee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Administrations during the Rural Saemaul Undong in the 1970s
한국행정학보 |
45 |
3 |
2011 |
행정학
대구경북 새마을운동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사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ies for the Saemaul Undong of Daegu-Gyeongbuk Regions - Focused on Comparative Study with Similar Cases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식민지 주민 동원의 유산과 변용
The Remains and Transformation of the Residents Mobilization System develope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동원과 참여 사이에서: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 과정에서의 지방공무원의 역할
Between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Officials in Local Administrations during the Rural Saemaul Undong in the 1970s
한국행정학보 |
45 |
3 |
2011 |
행정학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적용 방향
The Application Directions of Saemaul Undong to Africa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3 |
2 |
2011 |
국제/지역개발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와 공적개발원조 적용을 위한 과제
A Study on the Subjects of Saemaul Undong for Globalisation and Application to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1 |
2012 |
기타행정학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본 새마을 운동
The Reinterpretation of Saemaul Undong through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지방행정연구 |
26 |
3 |
2012 |
행정학
정책설계의 사회의 재구성과 발전적 평가의 활용- 새마을 운동 정책을 중심으로 -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Policy Design and the Use of Developmental Evaluation: Focused on the Saemaul Movement Policy
한국정책학회보 |
19 |
4 |
2010 |
정책학
정책설계의 사회의 재구성과 발전적 평가의 활용- 새마을 운동 정책을 중심으로 -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Policy Design and the Use of Developmental Evaluation: Focused on the Saemaul Movement Policy
한국정책학회보 |
19 |
4 |
2010 |
정책학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ODA) 적용 방향
The Application Directions of Saemaul Undong to Africa a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23 |
2 |
2011 |
국제/지역개발
새마을 운동을 통한 농업 생산과정의 변화와 농민 포섭
The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 and peasants appropriation of state through the Saemaulundong in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Implications of Korea’s Saemaul Undong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A Structural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
25 |
3 |
2010 |
정책학
Implications of Korea’s Saemaul Undong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A Structural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
25 |
3 |
2010 |
정책학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on Saemaul Undong -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
한국자치행정학보 |
25 |
1 |
2011 |
도시/지방행정
대구경북 새마을운동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사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ies for the Saemaul Undong of Daegu-Gyeongbuk Regions - Focused on Comparative Study with Similar Cases -
한국비교정부학보 |
15 |
1 |
2011 |
행정학
신문 사설의 보도 프레임 분석을 통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through the News Frame Analysis of the Newspaper Editorials
한국비교정부학보 |
16 |
1 |
2012 |
행정학
새마을운동을 이용한 아시아 국제개발협력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 to Asia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아시아연구 |
14 |
2 |
2011 |
지역학
새마을운동의 국제개발협력사업화 현황 분석과 대안적 접근 모색: 권리에 기반한 접근 (RBA)과의 접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Saemaul Undong in a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ing on the Possibilities of Incorporating RBA into Saemaul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3 |
2011 |
정치외교학
새마을 운동을 통한 농업 생산과정의 변화와 농민 포섭
The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on process and peasants appropriation of state through the Saemaulundong in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A Search for the Direction of Saemaul Undong in Gyeongsangbuk-do: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Saemaul Undong Project Based on a DHP Analysis Targeting Experts
경상북도 새마을운동의 정책방향 모색: 전문가 대상 DHP 분석에 기반한 새마을운동사업의 우선순위 평가
지역발전연구 |
20 |
2 |
2011 |
지역비교/통계
새마을운동에 대한 국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on Saemaul Undong - Celebrating its 40th Anniversary -
한국자치행정학보 |
25 |
1 |
2011 |
도시/지방행정
새마을운동의 세계화와 공적개발원조 적용을 위한 과제
A Study on the Subjects of Saemaul Undong for Globalisation and Application to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한국지방자치연구 |
14 |
1 |
2012 |
기타행정학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본 새마을 운동
The Reinterpretation of Saemaul Undong through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Governance
지방행정연구 |
26 |
3 |
2012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