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자 관계

연구분야 : B130313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친족법

클래스 : 교환/교류/교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563

STNet ID : 1002252

한자 : 親子關係
영어 : filiation

x03-06-02 교환/교류/교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법정친자

hasKind (종류)

 

 

실친자

hasKind (종류)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사회적 친자관계 () [ 社會的親子關係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인지 (의사표시) [ 認知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친생 부인 [ 親生否認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인공 수정자 () [ 人工受精者 ]

RT (관련어)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혼인중의 자 [ 婚姻中- 子 ]

RT (관련어)

 

a01-03-01 인간(친족관계) 인간(친족관계)

혼인외의 자 [ 婚姻外- 子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상속권 [ 相續權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친권 [ 親權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입양 [ 入養 ]

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동아법학 | 46 | 2010 | 법학

생식보조의료에 대한 최근의 논의와 그 과제

Recent Discussions ab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the Subject

동아법학 | | 46 | 2010 | 법학

AID에 의하여 출생한 자녀의 법적 지위

The Legal Standing of Children Born Under AID

법학연구 | 41 | 2011 | 법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406 | 2010 | 법학

가족관계 형성에서 혈연이 가지는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of Blood Tie in Establishing the Family Relation

인권과 정의 | | 406 | 2010 | 법학

임의인지에 의한 부자관계의 확정

Vaterschaft auf Grund Anerkennung

한양법학 | 29 | 2010 | 법해석학

임의인지에 의한 부자관계의 확정

Vaterschaft auf Grund Anerkennung

한양법학 | | 29 | 2010 | 법해석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33 | 2010 | 법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 33 | 2010 | 법학

생식보조의료와 사적생활상의 자기결정권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utonomy in Life

법학연구 | 51 | 1 | 2010 | 기초법

생식보조의료와 사적생활상의 자기결정권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Autonomy in Life

법학연구 | 51 | 1 | 2010 | 기초법

친생자관계의 결정기준에 관한 인권법적 모색 ― 유럽인권협약 체제를 중심으로 ―

Desirable Determining Factors of Parentage in respect of Human Rights: a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인권과 정의 | 406 | 2010 | 법학

친생자관계의 결정기준에 관한 인권법적 모색 ― 유럽인권협약 체제를 중심으로 ―

Desirable Determining Factors of Parentage in respect of Human Rights: a Comparative Research with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인권과 정의 | | 406 | 2010 | 법학

친자간의 협조의무 ― 비교법적 연구와 입법론 ―

The Mutual Oblig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opertation, Respect, and Consideration

홍익법학 | 13 | 1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