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26

STNet ID : 1000057

한자 : 伽倻
기타 : Gaya
기타 : 加耶
한자 : Kaya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구야국

UF (비우선어)

 

 

구야 [ 狗耶 ]

UF (비우선어)

 

 

가야국

UF (비우선어)

 

 

가량국

UF (비우선어)

 

 

가량 [ 加良 ]

UF (비우선어)

 

 

가락국 [ 駕洛國 ]

UF (비우선어)

 

 

가락 [ 駕洛 ]

UF (비우선어)

 

 

가라국 [ 加羅國 ]

UF (비우선어)

 

 

가라 [ 加羅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락국기 [ 駕洛國記 ]

RT (관련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가야산 [ 伽倻山 ]

RT (관련어)

육가야

x01-02 국가명 국가명

대가야 () [ 大加耶 ]

RT (관련어)

육가야

x01-02 국가명 국가명

소가야 [ 小加耶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수로왕 [ 首露王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대사 [ 帶沙 ]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Baekje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Baekje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동래’와 ‘기장’의 옛 땅이름 연구

Study of an old place name of ‘dongnae(東萊)’ and ‘gijang(機長)’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百濟의 加耶 進出과 ‘泗沘會議’

The Advance of Baekje into Gaya and‘Conference of Sabi’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금강 상류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과 성격

The distribu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ortresses and signal-fires in upstream of Geumgang

호남고고학보 | 41 | 2012 | 역사학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A Study of the Traffic Route Baekjeon and Gaya on the Jeollabuk-do Region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무덤과 祭祀遺蹟을 통해 본 5∼6세기 百濟와 倭

Baekje and Wa of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Examined Through Tombs and Ritual Site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 백제의 가야 진출과 倭國- 소위 ‘397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

Expansion of Baekie to Kaya, and Wa -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Year 397 System’ -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고대 한일교섭의 가교, 거제도 -가야의 瀆盧國과 신라의 裳郡-

古代韓日交涉の架橋, 巨濟島 -加耶の瀆盧国と新羅の裳郡-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三國史記』에 보이는 4~5세기의 加耶와 三國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三國史記』에 보이는 4~5세기의 加耶와 三國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加倻'의 어원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Word ‘伽倻’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加倻'의 어원 연구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Word ‘伽倻’

동남어문논집 | 1 | 29 | 2010 | 기타국어학

가야 금속공예품의 특색과 변화양상

Spec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Aspect of Gaya Metal Craftworks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가야 금속공예품의 특색과 변화양상

Spec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Aspect of Gaya Metal Craftworks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동음이의 음역어의 난맥상 분석 : 가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Chaotic Aspect of Original Words and Meaning of the Transliterated Terms in Chinese Buddhist Texts: The Case of Gara Pronounced in Korean

인도철학 | 29 | 2010 | 철학

동음이의 음역어의 난맥상 분석 : 가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Chaotic Aspect of Original Words and Meaning of the Transliterated Terms in Chinese Buddhist Texts: The Case of Gara Pronounced in Korean

인도철학 | | 29 | 2010 | 철학

가야 유물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과 저변확대보급에 관한 컨설팅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consultation about the popularization of the cultural goods design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relics of Gaya

조형미디어학 | 14 | 1 | 2011 | 기타미술

加耶·新羅古墳의 年代觀

The chronological standpoint of Gaya·Silla tombs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