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연구분야 : B140500 사회과학 > 행정학 > 도시/지방행정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314

한자 : 公職
영어 : Public services

a01-06-02 인간(지위/벼슬)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공직 구조 [ 公職構造 ]

hasIssue (이슈/주제)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공직 개방 [ 公職開放 ]

hasIssue (이슈/주제)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성 차별 [ 性差別 ]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공직 부패 [ 公職腐敗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공인 [ 公人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관료제 () [ 官僚制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공직자 [ 公職者 ]

한국행정학의 영역 찾기: 공직과 자리 개념의 재발견

Drawing New Line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discovering the Concept of Gong-jik and Ja-ri

한국행정학보 | 45 | 1 | 2011 | 행정학

중세 비잔티움 귀족사회의 다문화성 - 10-11세기 아랍-이슬람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

The Multiculturality of Byzantine Aristocracy : Focusing on the Arab-Islam Originated Elites in the 10th-11th Centuries

서양중세사연구 | 30 | 2012 | 역사학

정부의 질과 관료제의 합리성: 관료제 이념형 구성의 기본단위인 ‘공직’ 개념을 중심으로

Quality of government and the rationality of bureaucracy: Centered on the concept of gong-jik, which is the basic unit of analysis of 'the ideal-type bureaucracy'

정부학연구 | 17 | 3 | 2011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