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개화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클래스 : 변천/과정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635

STNet ID : 9001552

한자 : 文明開化

b02-04 변천/과정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R] 19세기 말-20세기 초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중국 () [ 中國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2 국가명 국가명

일본 () [ 日本 ]

R1:개념적

RT (관련어)

 

B02 변화(변동) 변화(변동)

서구화 [ 西歐化 ]

근대 한국의 사회진화론 도입·변용에 보이는 정치적 인식구조- 국가적 독립과 문명개화의 사이에서-

On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Darwinism in Late Chosun Dynasty: Between the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대한정치학회보 | 18 | 3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초기 기독교의 혼인담론 -조혼, 축첩, 자유연애를 중심으로-

Discourses on Marriage in Early Modern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early marriage,” “concubinage,” and “free love”

한국기독교와 역사 | 32 | 2010 | 교회사

초기 기독교의 혼인담론 -조혼, 축첩, 자유연애를 중심으로-

Discourses on Marriage in Early Modern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early marriage,” “concubinage,” and “free love”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2 | 2010 | 교회사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정착과 그 한계: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Their Establishment and Limitation as Modern Religions: Focusing on the Idea of Gaebyeok

종교문화비평 | 22 | 22 | 2012 | 종교학

강제병합 100주년, 20세기의 한국근대사 연구를 넘어서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Centennial of the Japanese Annexation: Looking beyond the 20th Centu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독립신문}에 나타난 개화지식인들의 근대주의와 儒學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Modernism and Confucianism by the Enlightened Intellectual in the The Independent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불교의 혁신론과 문명개화의 여정

Reformism of Colonial Buddhism and Journey of the Enlightened Civilization

동국사학 | 48 | 2010 | 역사학

식민지 불교의 혁신론과 문명개화의 여정

Reformism of Colonial Buddhism and Journey of the Enlightened Civilization

동국사학 | | 48 | 2010 | 역사학

『독립신문』에 나타난 미국인식

Korean Perception of the US in The Independent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7 | 2011 | 역사학

동도서기론의 구조와 전개양상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Dongdo-Seogi Philosophies

사림 | 42 | 2012 | 역사학

일본 메이지유신(明治維新)기 메이로쿠샤(明六社)결성과 문명개화론의 성격

明治維新期の明六社の結成と文明開化論の性格 The formation of Meirokusha(明六社) and the characteritic of civ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eijiishin(明治維新)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도산 안창호의 문명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ion of Civilization of Dosan Ahn, Chang Ho

민족사상 | 6 | 3 | 2012 | 한국정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