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02

한자 : 書齋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서실 [ 書室 ]

UF (비우선어)

 

 

서각(서재) [ 書閣 ]

UF (비우선어)

 

 

문방(서재) [ 文房 ]

B2:전체

BT (상위어)

 

 

방(주택) [ 房 ]

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방사우의 교육문화적 의의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significances of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文房四友)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麗末鮮初 ‘私置學堂’의 역할과 성격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rivate Academies in Transitional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麗末鮮初 ‘私置學堂’의 역할과 성격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rivate Academies in TransitionalPeriod between Goryeo and Joseon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西齋 任徵夏의 유배체험과 그 형상화

The study of Seo-je Jing-ha, Im's exile liture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