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22

STNet ID : 1000489

한자 : 西學
영어 : Western learning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천주학 [ 天主學 ]

UF (비우선어)

 

 

서교 [ 西敎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천주교 () [ 天主敎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동도서기 [ 東道西器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화혼양재 [ 和魂洋才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이학집변 [ 異學集辨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천주실의 () [ 天主實義 ]

마테오 리치와 普遍主義 —『幾何原本』 公理系의 東傳과 그 受容을 중심으로—

マテオ・リッチと普遍主義

명청사연구 | 34 | 2010 | 역사학

마테오 리치와 普遍主義 —『幾何原本』 公理系의 東傳과 그 受容을 중심으로—

マテオ・リッチと普遍主義

명청사연구 | | 34 | 2010 | 역사학

신해정변과 일본

辛亥變政與日本

중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1 | 중국현대사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餘窩 睦萬中의 시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 양상

A study of Mok Man-jung's poetry world - Focused on his sense of reality and literary responses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해정변과 일본

辛亥變政與日本

중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1 | 중국현대사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문체반정 독법 ― 정조의 정치-교육론 미시분석

Scene analysis on the restoration project of King Jeongjo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s and education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溪南 崔琡民의 삶과 學問傾向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Choi Sukmin using a pen name of Gyenam

南冥學硏究 | 30 | 2010 | 철학

溪南 崔琡民의 삶과 學問傾向

The life and Academic Inclination of Choi Sukmin using a pen name of Gyenam

南冥學硏究 | | 30 | 2010 | 철학

수운의 사상에 나타난 동서 교섭의 양태 - 신 이해를 중심으로

Modes and Aspects of East-West Negotiations in Soo-woon’s Religious Ideas - focused on an Understanding of God

동학학보 | 21 | 2011 | 역사학

『萬國公報』에 나타난 청말 科擧제도와 교육제도의 비판에 관한 내용 연구

《万国公报》对中国近代科举制度和教育制度的 批判

중국근현대사연구 | 51 | 2011 | 중국현대사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燕巖의 우정론과 西學의 영향 -마테오 리치의 「交友論」을 중심으로-

View of Friendship by Park Ji-won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Centered on On Friendship(交友論) by Matteo Ricci-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예수회 중국 선교사들과 서양과학의 조선 전래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ciences in Chosun Korea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利瑪竇’에 대한 朝鮮後期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Korean understanding of Matteo Ricci and his learning in late Chosŏn period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利瑪竇’에 대한 朝鮮後期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Korean understanding of Matteo Ricci and his learning in late Chosŏn period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An Analysis of Chinese Society in 17-18th Century: Focusing on Language and Translation

중국문학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언어와 번역을 통해 본 17-18세기 중국 사회

An Analysis of Chinese Society in 17-18th Century: Focusing on Language and Translation

중국문학 | 65 | | 2010 | 중국어와문학

格物窮理에서 ‘科學’으로: 晩明 西學受容 이후 科學 槪念의 變遷

From Gewuqiongli to 'Kexue'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신라하대 ‘國內派’ 禪僧 연구 -현황과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me-Grown’ Zen Monks during Late Silla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and aspects of existence-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신라하대 ‘國內派’ 禪僧 연구 -현황과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me-Grown’ Zen Monks during Late Silla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and aspects of existence-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格物窮理에서 ‘科學’으로: 晩明 西學受容 이후 科學 槪念의 變遷

From Gewuqiongli to 'Kexue'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

조선 후기 서구식 지도의 수용과 『회입곤여만국전도』

The Introduction of European Maps in late Jeoseon Period and the Hoeip Gonyeomangukjeondo

문화역사지리 | 24 | 2 | 2012 | 인문지리학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Two Aspects of the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Two Aspects of the King Jeongjo's Policy on Writing Styl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星湖 李瀷의 대외인식과 조선의 대응방안 모색

A Study on Seongho Yi Ik's Perceptions of Foreign Countries and Joseon's Exploration of Countermeasures

한국사연구 | 152 | 2011 | 역사학

알레싼드로 발리냐노(Alessandro Valignano)의 「그리스도교 신앙 교리서」(Catechismus Christianae Fidei)에서 나타나는 적응주의적 입장

Understanding on the Accomodation Position according to 「Catechismus Christianae Fidei」of Alessandro Valignano

가톨릭신학 | 19 | 2011 | 가톨릭신학

조선서학의 전개와 과제

Development of "Seohak" and its Problem in late Chosun Dynasty

신학과철학 | 20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Korean Intellectuals’ Response to Western Mathematics since Matteo Ricci’s Book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Korean Intellectuals’ Response to Western Mathematics since Matteo Ricci’s Book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Korean Intellectuals’ Response to Western Mathematics since Matteo Ricci’s Book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Korean Intellectuals’ Response to Western Mathematics since Matteo Ricci’s Book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혜강 최한기의 개혁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yekang Choi Han Gi’s Reform Ideology

한국행정사학지 | 26 | 2010 | 행정사

혜강 최한기의 개혁사상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Hyekang Choi Han Gi’s Reform Ideology

한국행정사학지 | | 26 | 2010 | 행정사

東學의 西學ㆍ西洋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

Donghak’s Changes in Its Awareness on the Catholic & the Western civilization

교회사연구 | 34 | 2010 | 교회사

東學의 西學ㆍ西洋에 대한 인식의 변화 양상

Donghak’s Changes in Its Awareness on the Catholic & the Western civilization

교회사연구 | | 34 | 2010 | 교회사

『性理精義』와 西學

Xingli Jingyi and Western Learning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淸代 前期 西學 受容의 형식과 외연

清代前期西学受容の形式と外延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淸代 前期 西學 受容의 형식과 외연

清代前期西学受容の形式と外延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18세기 正祖期 朝鮮 西學 受容의 系譜

18世紀正祖期における朝鮮の西学受容の系譜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18세기 후반 북경 천주당을 통한 천주교 서적의 조선 전래와 신앙공동체의 성립 - 이승훈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troduction of Catholic books from Beijing China into Choseon dynasty and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18th centuries ; With Lee Seung-hoon as the central figure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후반 북경 천주당을 통한 천주교 서적의 조선 전래와 신앙공동체의 성립 - 이승훈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troduction of Catholic books from Beijing China into Choseon dynasty and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18th centuries ; With Lee Seung-hoon as the central figure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의 죽음의 의미화 방식 연구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을 중심으로-

A study on ways of signifying the death showed in Okjoongseoga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淸代 前期 西學 受容의 형식과 외연

清代前期西学受容の形式と外延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淸代 前期 西學 受容의 형식과 외연

清代前期西学受容の形式と外延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동서 기독교 윤리학의 가교로서의 서학 윤리사상

A Way of Building Bridges between Eastern-Western Ethic: Suhak Ethics

기독교사회윤리 | 21 | 2011 | 기독교신학

滿文 <算法原本>과 유클리드 初等整數論의 東傳

満文<算法原本>とユークリッド初等整数論の東伝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滿文 <算法原本>과 유클리드 初等整數論의 東傳

満文<算法原本>とユークリッド初等整数論の東伝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滿文 <算法原本>과 유클리드 初等整數論의 東傳

満文<算法原本>とユークリッド初等整数論の東伝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滿文 <算法原本>과 유클리드 初等整數論의 東傳

満文<算法原本>とユークリッド初等整数論の東伝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18세기 후반 북경 천주당을 통한 천주교 서적의 조선 전래와 신앙공동체의 성립 - 이승훈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troduction of Catholic books from Beijing China into Choseon dynasty and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18th centuries ; With Lee Seung-hoon as the central figure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후반 북경 천주당을 통한 천주교 서적의 조선 전래와 신앙공동체의 성립 - 이승훈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troduction of Catholic books from Beijing China into Choseon dynasty and foundation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late 18th centuries ; With Lee Seung-hoon as the central figure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