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26

STNet ID : 1000490

한자 : 石器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간석기 [ 磨製石器 ]

hasKind (종류)

 

 

뗀석기 () [ --石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나이프형석기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세석기 [ 細石器 ]

hasKind (종류)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격지 석기 [ --石器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석기 문화 [ 石器文化 ]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Stone-tool assemblages and alternative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Jeju island

호남고고학보 | 36 | 2010 | 역사학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Stone-tool assemblages and alternative subsistence economy of the Songguk-ri culture in Jeju island

호남고고학보 | 36 | | 2010 | 역사학

도예가 가모다 쇼지(加守田 章二)의 초기․전기 작품과 그 활동

Works and his activities of the beginning and early period of a potter, Shoji Kamoda

기초조형학연구 | 12 | 3 | 2011 | 예술일반

신석기시대 동삼동 지역의 생계 전략 변동에 대하여

Diachronic Change in Subsistence-Settlement Strategy at Dongsam-dong Shellmidden

한국신석기연구 | 23 | 2012 | 역사학

평택지역 구석기 유물에 대한 예보적 고찰

Preliminary Study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in Pyeongtaek

동국사학 | 48 | 2010 | 역사학

평택지역 구석기 유물에 대한 예보적 고찰

Preliminary Study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in Pyeongtaek

동국사학 | | 48 | 2010 | 역사학

南部內陸地域 新石器時代 石器의 변천과 양상

Changes and Aspects of Stone Tools of the Southern Inland Areas in New Stone Age

한국신석기연구 | 22 | 2011 | 역사학

제주도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A Study of Stone Tools in the Neolithic Period in Jeju Island

한국신석기연구 | 2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