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화

연구분야 :

클래스 : 변천/과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738

STNet ID : 1002301

한자 : 主體化
영어 : subjectification
영어 : Subjectivation

b02-04 변천/과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학문 주체화 [ 學問主體化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주체 문화 [ 主體文化 ]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age of ‘Vanishing Bride’ Representing the Loss and Melancholy of the Male-Subject -The Study on the Oral Narrative of "the Bride Deserted on Wedding Night"-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경계의 재구성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constructing the Border of Communit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 말기 국민문학론의 국민 되기의 논리와 문학적 의미-최재서의 「받들어 모시는 문학」을 중심으로

The Logic and Literary of “Becoming a Nation” through Theories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reading “Matsurou Literature” by Choi Jae-seo

사이間SAI | 9 | 2010 | 기타국문학

전환기의 사상, 리얼리즘의 조건-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Thought of the turning point and the condition of realism-focusing on An Aquarium of Love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환기의 사상, 리얼리즘의 조건-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을 중심으로

Thought of the turning point and the condition of realism-focusing on An Aquarium of Love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신채호 시의 구조화 방식

Method of Structuralization of the Poems of Shin Chaeho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형기 구(舊)카프 문인의 현실대응의 두 양상 -한설야와 김남천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wo Aspects of the Former KAPF Writers' Confronting Realities in the Turning Point -Focusing on Novels of Han Seol-ya and Kim Nam-cheon-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생명 권력과‘욕망인의 분석’ : 미셸 푸코의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를 중심으로

Bio-power and 'Analysis of Man of Desire' : On Michel Foucault's La Volonté de Savoir

생명연구 | 19 | 2011 | 서양철학

초ㆍ중등학교에 미친 나치의 영향 ― 나치집권기간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Nazi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사림 | 37 | 2010 | 역사학

초ㆍ중등학교에 미친 나치의 영향 ― 나치집권기간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Nazi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사림 | | 37 | 2010 | 역사학

푸코에 대한 연구에서 푸코적인 연구로: 한국에서 푸코 저작의 번역과 연구 현황

From the Studies on Foucault to the Foucauldian Studies: Review on the Receptions of Michel Foucault's Works in Korea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A Study on Mokminsimseo(『牧民心書』):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of Government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섹슈얼리티와 신자유주의적 주체화: 대중 종합여성지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Sexuality and the neo-liberal structuring of the subject: A discourse analysis of popular women’s magazines in Korea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6 | 2010 | 사회학

섹슈얼리티와 신자유주의적 주체화: 대중 종합여성지의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Sexuality and the neo-liberal structuring of the subject: A discourse analysis of popular women’s magazines in Korea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6 | 2010 | 사회학

기형도 시의 욕망과 미시 정치학

Desire and micro―politics of Gi―hyeong do poetry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중문화의 향유와 가족이데올로기의 위기: 미국드라마에서 소녀시대까지

The Crisis of the Ideology of Family and American Soap-opera: Focusing on Subjectification and Desire

신학과 사회 | 25 | 1 | 2011 | 기타인문학

문학이라는 장치 -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Literature as Dispositi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phere-

현대문학의 연구 | 44 | 2011 | 한국어와문학

햄릿 캐릭터에 재현된 라캉의 주체화 연구

The Analysis of 'Hamlet' based on Lacanian Subjectification

한국연극학 | 1 | 45 | 2011 | 연극

기업주의 도시 로컬리티의 타자성 - 푸코의 통치성 개념과 연관시켜서 -

Altérité et localité des villes entrepreneuses: approche par le concept foucaldien de la gouvernementalité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기업주의 도시 로컬리티의 타자성 - 푸코의 통치성 개념과 연관시켜서 -

Altérité et localité des villes entrepreneuses: approche par le concept foucaldien de la gouvernementalité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미셸 푸코의 ‘자기의 테크놀로지’와 해월 최시형의 ‘향아설위’

Michel Foucault's Technology of the Self and Haewol's Hyang-A-Seol-Oui

동학학보 | 19 | 2010 | 역사학

미셸 푸코의 ‘자기의 테크놀로지’와 해월 최시형의 ‘향아설위’

Michel Foucault's Technology of the Self and Haewol's Hyang-A-Seol-Oui

동학학보 | | 19 | 2010 | 역사학

창작 과정에 있어 ‘주체화’의 문제 - 김남천의 ‘일신상(一身上)의 진리’ 개념을 중심으로 -

In the creative process, the problem of 'subjectification' - Focusing on Kim Namcheon's the concept of the truth of the intimate -

한국학연구 | 36 | 2011 | 기타인문학

진리의 윤리학과 벌거벗은 생명: 바디우와 베케트

The Ethics of Truths and Bare Life: Badiou and Beckett

현대영미드라마 | 24 | 2 | 2011 | 현대영미희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