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481

한자 : 宣傳
영어 : propaganda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프로파간다 [propaganda]

식민 권력의 자기 기념과 시각적 선전 - 조선신궁기념사진집 『은뢰(恩賴)』를 중심으로

Self-commemoration and visual propaganda of a colonial power A study of a Collection of photographs commemorating the Chosen Shrine’s Anniversary, Eunroi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9 | 2011 | 사회학

상징과 소비에트 정치문화

Symbols and the Soviet Political Culture

아시아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

Japanese War Painting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일본역사연구 | 32 | 2010 | 역사학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

Japanese War Paintings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일본역사연구 | | 32 | 2010 | 역사학

스탈린 체제와 상징: 선전-선동의 아이콘

Stalin's System and symbols: Icons of Propaganda and Agitation

아시아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스탈린 체제와 상징: 선전-선동의 아이콘

Stalin's System and symbols: Icons of Propaganda and Agitation

아시아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도시와 근대성의 영화적 재현 ― 기록영화 <경성>과 식민권력의 자기재현

Cinematic Representation of a Colonial City and its Modernity ― Documentary Film Keijō(Seoul) and the Self-representation of Colonial Power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2 | 2011 | 사회학

조선미술전람회와 문명화의 선전(宣傳)

Propaganda of ‘Civilizing Mission’ in the Chosen Art Exhibition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9 | 2011 | 사회학

선전과 시장 ― ‘문예대중화론’과 식민지 검열의 교착

Propaganda and Market ― Intricacy of 'Literary Popularization Debate' and Censorship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주한미국공보원(USIS) 영화선전의 표상과 담론 ― 1950년대, 국가 재건과 자립 한국인의 주체성 ―

(Re)Presentations and Discourses in the USIS-Korea’s Film Propaganda ― The Rehabilitated Self in Rebuilding the Nation in the 1950s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일제의 한국 강점 논리와 그 선전

Logic of the Japanese Forcible Occupation of Korea and its Propagand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일제의 한국 강점 논리와 그 선전

Logic of the Japanese Forcible Occupation of Korea and its Propaganda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활동 ―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

The Propaganda Activities of U.S. Information Service(U.S.I.S.)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중국의 지역경쟁력 강화전략 : 홍콩-선전-광저우의 연계개발을 중심으로

Regional Competitiveness Policy in China : The Emergence of the Hong Kong-Shenzhen-Guangzhou Development Corridor

국토지리학회지 | 44 | 4 | 2010 | 지리학

중국의 지역경쟁력 강화전략 : 홍콩-선전-광저우의 연계개발을 중심으로

Regional Competitiveness Policy in China : The Emergence of the Hong Kong-Shenzhen-Guangzhou Development Corridor

국토지리학회지 | 44 | 4 | 2010 | 지리학

온라인 오피니언 리더의 담론 유형 탐구: ‘세종시’ 관련 인터넷 토론방 다음 아고라 ‘선도의견’을 중심으로

Analysis of Online Opinion Leaders’ Discourse Patterns: Regarding Leading Opinion about ‘Sejong City’ Posted on Agora, the Discussion Board of the Portal Daum

언론정보연구 | 48 | 1 | 2011 | 신문방송학

선전인가, 공익인가? 우리나라 정부광고 집행의 문제점과 대안

For propaganda or public interest?: Suggesting a new government advertising system though problem analyses

커뮤니케이션 이론 | 6 | 1 | 2010 | 신문방송학

선전인가, 공익인가? 우리나라 정부광고 집행의 문제점과 대안

For propaganda or public interest?: Suggesting a new government advertising system though problem analyses

커뮤니케이션 이론 | 6 | 1 | 2010 | 신문방송학

1952년 ‘미국의 소리 한국어방송’의 부산정치파동 보도와 KBS 중계방송의 중단

The Voice of America Korean Service Coverage of the Pusan Political Crisis in 1952 and the Ban of KBS Relay Broadcasts

역사와경계 | 80 | 2011 | 역사학

선전, 보수세력 그리고 언론 : 선전전략으로서 ‘잃어버린 10년’ 분석

Propaganda, Conservatives, and the Media:Analyzing the “Lost 10 Years” as Propaganda Strategies

한국언론정보학보 | 53 | 1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