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기법

연구분야 : A090900 인문학 > 언어학 > 기호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5111

STNet ID : 1002305

한자 : 表記法
영어 : Orthography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lass (개념범주)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방법 [ 方法 ]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표기 () [ 表記 ]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중세 국어 표기법 [ 中世國語表記法 ]

hasKind (종류)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로마자 표기법 [ --字表記法 ]

hasKind (종류)

 

 

극좌표 표기법 [ 極座標表記法 ]

hasKind (종류)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한자 표기 [ 漢字表記 ]

hasKind (종류)

 

e02-03 기준/규칙 기준/규칙

외래어 표기법 () [ 外來語表記法 ]

R1:개념적

RT (관련어)

 

 

용자법 () [ 用字法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오류 분석

Analysis of the Usage Errors of Korean Vocabulary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어휘 오류 분석

Analysis of the Usage Errors of Korean Vocabulary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 중철표기의 유형 검토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Jungcheol’ Writing in Pre-modern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험약초언해(靈驗略抄諺解)』연구

A Study on Yeongheomyakchoeonhae(靈驗略抄諺解)

동악어문학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행 사이시옷 규정과 관련된 몇 문제

Some Problems Related to Existing Saisiot Regulation

민족문화연구 | 54 | 2011 | 기타인문학

로마字 表記法에 대하여

On Korean Romanizatio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지역어와 지역문학

A Reg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영험약초언해(靈驗略抄諺解)』연구

A Study on Yeongheomyakchoeonhae(靈驗略抄諺解)

동악어문학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吏讀의 개념과 성격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Idu(吏讀)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A Study of Phonological Features and Orthography in Computer Mediated Language

언어연구 | 27 | 1 | 2010 | 언어학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A Study of Phonological Features and Orthography in Computer Mediated Language

언어연구 | 27 | 1 | 2010 | 언어학

개화계몽기 문자/음성적 전통의 균열과 이인직의 언어의식 -「血의淚」의 고유명 玉蓮․옥연․옥련(옥년)을 중심으로

The Disturbance of Pronunciation in Chinese Character and Lee in-jik's Language Consciousness of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proper names, 玉蓮․Okyun․Okryun(Oknyun) in Blood Tears(「血의淚」)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진법언해(陣法諺解)』의 표기와 음운

A Phonological Analysis on the Jinbeop- eonhae.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진법언해(陣法諺解)』의 표기와 음운

A Phonological Analysis on the Jinbeop- eonhae.

언어과학연구 | 56 | 2011 | 언어학

형태소와 문법 기술

‘Morpheme’ and Linguistic Descriptio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형태소와 문법 기술

‘Morpheme’ and Linguistic Descriptio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통일시대의 국어교육의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of reunifi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통일시대의 국어교육의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of reunifi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충청도 방언과 충청도 문학 —정지용의 「향수」에 쓰인 충청도 방언을 중심으로—

The Chungcheong-do Dialect and The Chungcheong-do Literature - centering around the 「향수」 of Jeong, Jiyong's poem -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표기 변화를 중심으로-

Notational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first-edition and the revised-edition of Dusi-Eonhae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시언해” 초간본과 중간본의 비교 -표기 변화를 중심으로-

Notational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first-edition and the revised-edition of Dusi-Eonhae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Old English Fricative Voicing Revisited

영어학연구 | 16 | 2 | 2010 | 영어와문학

Old English Fricative Voicing Revisited

영어학연구 | 16 | 2 | 2010 | 영어와문학

오스트로그 사복음서의 정자법 연구: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thography in the Four Gospels of Ostroger-Bible

노어노문학 | 23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中國歷代“書同文”論略

Review of “Shu Tong Wen” in Chinese History

Journal of China Studies | 13 | 2012 | 중국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Orthography of Crop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Orthography of Crop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문자메시지의 표기와 특성: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f writing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 messages: With reference to university students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8 | 1 | 2012 | 언어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ㅔ, ㅐ’ 표기의 교육 방법 연구

Teaching methode of ‘ㅔ, ㅐ’ Orthography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ㅔ, ㅐ’ 표기의 교육 방법 연구

Teaching methode of ‘ㅔ, ㅐ’ Orthography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

North Korea's 2010 Revision of Joseonmal Gyubeomjip and its Significance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Orthography of Crops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곡식류 어휘장의 분류 및 표기법 연구

A Diachron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Orthography of Crops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생 글쓰기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과 지도 방안

The Error Pattern and the Plan for Guidance on the Word Spacing in College Students' Writings.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생 글쓰기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과 지도 방안

The Error Pattern and the Plan for Guidance on the Word Spacing in College Students' Writings.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필사본 『朝鮮地誌資料』의 국어학적 연구 -강원도 편 39-42권을 중심으로-

A Korea Linguistic Study on the Korean Text ‘Joseon Jijijaryo(朝鮮地誌資料)’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필사본 『朝鮮地誌資料』의 국어학적 연구 -강원도 편 39-42권을 중심으로-

A Korea Linguistic Study on the Korean Text ‘Joseon Jijijaryo(朝鮮地誌資料)’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간판 언어에 나타난 우리말의 표기 실태 연구 -대구 동성로 일대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A Survey Study on Orthography of Signboard Language in Korean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국어 중철표기의 유형 검토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Jungcheol’ Writing in Pre-modern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A Systematization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 맞춤법 교육의 체계화

A Systematization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in elementary school

한국초등국어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동음이의형태의 정자법적 변별법칙(принцип антистиха) -겐나지 성경과 오스뜨로그 성경을 중심으로-

The Distinguishing between Grammatical-lexical Homonyms in Gennadius-Bible and Ostroger-Bible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동음이의형태의 정자법적 변별법칙(принцип антистиха) -겐나지 성경과 오스뜨로그 성경을 중심으로-

The Distinguishing between Grammatical-lexical Homonyms in Gennadius-Bible and Ostroger-Bible

노어노문학 | 22 | 4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아니요, 아니에요’의 敬語法과 文法的 特徵

The Gammatical and Hnorific Fature of ‘aniyo(아니요) and anieyo(아니에요)’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니요, 아니에요’의 敬語法과 文法的 特徵

The Gammatical and Hnorific Fature of ‘aniyo(아니요) and anieyo(아니에요)’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의 국어학적 분석

The linguistic analysis of college writing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時調의 表記 樣相 考察 - 艸丁 金相沃 時調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rthography of Modern Sijo - Focused on Chojeong Kim Sang-Ok"s Sijo -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現代時調의 表記 樣相 考察 - 艸丁 金相沃 時調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rthography of Modern Sijo - Focused on Chojeong Kim Sang-Ok"s Sijo -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초기의 표기법 단순화 연구 -방점과 ‘ㆁ’을 중심으로-

Study on Reasons for the Simplification of Korean Orthography of the 17th Century

한말연구 | 29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조 표기 방식의 다양성 연구

A Study on the Diversity of Notation Methods used in Modern three-verse Korean Poems

시조학논총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조 표기 방식의 다양성 연구

A Study on the Diversity of Notation Methods used in Modern three-verse Korean Poems

시조학논총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О принципах якутской орфографии

On the Principles of Sakha Orthography

알타이학보 | 20 | 2010 | 기타인문학

О принципах якутской орфографии

On the Principles of Sakha Orthography

알타이학보 | | 20 | 2010 | 기타인문학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表記와 文法

The orthography and grammar of ‘budijchi-’, ‘budijhi-’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돼-’ 표기의 역사적 해석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돼’.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