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과 ‘사이공간’의 세 차원
Three Aspects of ‘In-between’ in Translation
코기토 |
69 |
2011 |
기타인문학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프랑스어권문학’ - 탈식민화 기획과 실천의 가능성
Les littératures francophones - la possibilié de la pratique du projet de la décolonisation
불어불문학연구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프랑스어권문학’ - 탈식민화 기획과 실천의 가능성
Les littératures francophones - la possibilié de la pratique du projet de la décolonisation
불어불문학연구 |
|
83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문학에서의 트랜스내셔널 패러다임 민족문학론과 세계문학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Transnational Paradigm in Literature: Issues in Discourses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역사와 문화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문학에서의 트랜스내셔널 패러다임 민족문학론과 세계문학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Transnational Paradigm in Literature: Issues in Discourses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역사와 문화 |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상호문화적 문학교육에서 ‘낯섦 이해’의 문제 -세계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Fremdverstehen im interkulturellen Literaturunterricht -besonders in Bezug auf Weltliteratur-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상호문화적 문학교육에서 ‘낯섦 이해’의 문제 -세계문학 교육과 관련하여-
Fremdverstehen im interkulturellen Literaturunterricht -besonders in Bezug auf Weltliteratur-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조선의 번역운동과 괴테의 ‘세계문학’ 개념 수용에 대한 고찰 - 해외문학파를 중심으로
Die koreanische Übersetzungsbewegung und die Rezeption von Goethes Begriff der ‘Weltliteratur' - Anhand der Analyse zur Überseeliteratur-Gruppe
괴테연구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문학청년으로서 번역가 이상수와 번역의 운명
Yi Sang-su as a Translator and Literary Youth and the Destiny of a Translation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정전 (연구)의 새로운 지평: 정전성의 정치학
The New Horizon of Canon Studies: the Politics of Canonicity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Goethe’s Asses: Wilhelm Meister’s Apuleian Theology of Curiosity and the Prospect of a World Literature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Goethe’s Asses: Wilhelm Meister’s Apuleian Theology of Curiosity and the Prospect of a World Literature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한국근대문학의 비(非)민족주의적 기원들
The Literary Theory of Lee Kwang Soo in 1910s and the Non‒nationalistic Origin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 90년대 이후 한국문학 담론지형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고찰
National Literature, World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 90년대 이후 한국문학 담론지형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고찰
National Literature, World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간 탈경계적 주체로서의 번역가의 과제와 번역전략(II) - 괴테와 번역: 디드로의『라모의 조카』 번역을 중심으로
Die Aufgabe und Strategie des Übersetzers als entgrenztes Subjekt zwischen Kulturen (II) - Goethes Übersetzung von Denis Diderots Le Neveu de Rameau
괴테연구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세계문학으로서 한국문학: 번역과 번역공정의 문제에 대한 고찰
Ko Un’s Ten Thousand Lives and the Fate of a Translated Poet
비교문학 |
54 |
2011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