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제도

연구분야 : C120101 자연과학 > 생활과학 > 가족학 > 가족관계
B130313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친족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60

STNet ID : 1000059

한자 : 家族制度
독일어 : Familien system
프랑스어 : systeme de la famille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 제도 [ 社會制度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근친 [ 覲親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모계 [ 母系 ]

hasKind (종류)

 

 

소가족 제도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부계 [ 父系 ]

hasKind (종류)

 

 

대가족 제도 [ 大家族制度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가부장제 () [ 家父長制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종법 제도 [ 宗法制度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가족 문화 [ 家族文化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혼인의 자유 () [ 婚姻--自由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노인 복지법 [ 老人福祉法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이혼 [ 離婚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상속법 [ 相續法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여성 호주 [ 女性戶主 ]

RT (관련어)

 

 

가족 제도 붕괴 [ 家族制度崩壞 ]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가족 () [ 家族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이에 제도 [家制度]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족보 기록을 통해 본 朝ㆍ淸의 嫡庶 의식 비교

A Comparison of Understandings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ildren in Choson and Qing China as Found in Genealogical Records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여성연애소설의 양가적 욕망과 딜레마 - 강신재와 은희경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ory on the double desire and dilemma of female love stori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터키와 한국의 혼인 풍습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URKISH AND KOREAN WEDDING CUSTOMS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터키와 한국의 혼인 풍습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URKISH AND KOREAN WEDDING CUSTOMS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33 | 2010 | 법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 33 | 2010 | 법학